2018.03.19 경제기사 공부하기

반응형

[경영일반] 늦어지는 송전로 건설..삼성 평택 반도체 2공장, 다 짓고도 가동 못 할 판

  - 고덕~서안성 송전선로 준공 불투명 삼성, 해결 안되면 '2공장 가동 불가' 입장
  - 삼성전자(005930)가 최대 30조원을 들여 건설하는 평택 반도체 2공장이 전력 수급에 발이 묶여 주춤하고 있다. 
  - 한국전력의 평택시 고덕산업단지와 서안성변전소를 잇는 고압 송전로 건설 작업이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 평택 반도체 2공장 가동 시점이 2020년인 것을 감안하면 약 1년간 전력 공급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 큰 문제는 송전로가 들어서는 안성시 원곡면 주민 일부가 재산권· 건강권 등을 이유로 송전로 건설을 극렬히 반대
  - 24시간 설비가 돌아가는 반도체 공장에 정전이 발생하면 막대한 피해가 생기는 데다, 직원들의 안전문제까지 걸려
  - 정전 등으로 핵심 장비가 공정을 멈추게 되면 반도체의 근간이 되는 ‘웨이퍼’는 전량 폐기해야 한다. 
  - 지난 2007년 8월 삼성전자 기흥 반도체 공장은 정전으로 21시간동안 가동이 중단된 적 있다. 약 500억원 규모의 피해 

[특히 최근 들어 ‘슈퍼 사이클’로 반도체 가격이 오른 데다 생산량도 늘어 가동 중단에 따른 피해액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 삼성전자가 안정적인 전력이 확보되지 않으면 공장을 가동하지 못한다고 결정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평택 반도체 2공장 가동 시점이 불투명해지면서 투자 계획이 흐트러질 수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목된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평택 반도체 2공장에서 어떤 제품을 얼마나 생산할지 결정하지 않은 상황”이라며 “생산 2~3년 전부터는 투자 계획이 나와야 하는데, 전력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계획조차 세울 수 없다”고 우려했다. ]

[금융] [초점]EU, 미국에 '보복관세' 경고…투자전략은?

  - 유럽연합(EU)이 미국의 수입 철강 관세 추가 부과에 대해 보복 조치를 경고한 가운데 무역전쟁 우려가 재점화.  
  - 수입 철강·알루미늄에 각각 25%와 10%의 추가 관세를 물리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 이에 대해 EU는 16일 보복관세 대상인 미국산 제품 200개의 목록을 발표했다.
  - 수입액 기준으로 연평균 28억유로(약 3조6818억원)에 해당하는 미국 공산품에 관세를 부가하기로 방침을 세운 것

["1980년대 중반에도 미국발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가 컸지만 미국이 진짜 원했던 것은 무역불균형 해소였다"며 "무역불균형 해소 방법에는 수입 장벽을 높여 '수입을 줄이는 것'과 상대방의 수입 장벽을 낮춰 '수출을 늘리는 것'이 있는데 실제 미국이 택한 방식은 1930년대와 같은 수출 늘리기였다"고 설명했다.

박성현 삼성증권 연구원 역시 "1980년대에는 컴퓨터, 인터넷 산업의 패권을 놓고 미국과 일본이 서로 경쟁을 벌인 바 있다"며 "당시에도 출발은 전통 산업에 대한 무역분쟁에서 출발했지만 이후 소위 '무역전쟁'으로 심화된 바는 없는 만큼, 최근 벌어지고 있는 무역 관련 분쟁을 전쟁이 아닌 경쟁(競爭)의 양상으로 보고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선을 그었다.

따라서 관련 우려가 이어지는 와중에 반사이익이 기대되는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는 조언도 나왔다.

박 연구원은 "1980년대 미국과 일본 간 패권 경쟁에서 엔화 가치 상승으로 한국 수출기업이 반사이익을 누렸던 사례가 있다는 점을 기억해야 한다"며 "주목하는 부분은 중국이 인수·합병(M&A)이나 비관세장벽 등을 활용해 한국과의 격차를 빠르게 좁혀왔던 산업들로 가장 대표적인 산업은 반도체"라고 진단했다.

최근 중국 신옌자산투자 컨소시엄의 미국 반도체 테스트장비업체 엑세라(Xcerra) 인수 무산, 브로드컴의 퀄컴 인수 제동 등에 비춰 중국 기업 행보에 대한 제동이 한국 반도체 및 IT 기업들에 대한 투자심리 개선으로 이어질 소지가 크다는 관측이다.

그는 "이러한 분위기가 강화된다면 첨단산업은 아니지만, 역시 중국과의 격차가 좁혀지거나 역전되면서 주가 동력이 약화된 조선 등 일반 제조업으로도 수혜가 확산될 가능성도 엿볼 수 있겠다"고 덧붙였다.]

[부동산] 재건축에 대출 규제까지 시작…주택 매수세 꺾일까

  - 수도권 아파트값 상승 둔화세가 뚜렷. 정부의 강도 높은 재건축 규제와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세 시행으로 판단.
  - 부동산114에 따르면 3월 셋째 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5주 연속 둔화세를 보이며 0.26% 올랐다.

[ 26일부터 DSR(총체적상환능력비율) 도입이 시범 적용되면 소득 수준이 낮은 실수요자들의 주택 구입 부담이 커져 매수 동력은 낮아질 전망이다.

이미윤 부동산114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정부의 각종 규제 효과가 조금씩 나타나고 있는데다 오는 26일 DSR 시범적용이 예정돼 있다”며 “다음 달 시행되는 조정대상지역의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적용을 피하기 위한 막바지 물량과 거치기간 종료 후 대출 원금 상환이 도래한 매도자들의 처분 매물도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최근 집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매매로 전환된 수요가 늘었고, 서울시가 재건축 이주시기를 하반기로 분산시키면서 상반기 전셋값 인상 변수가 뒤로 연기됐다”면서 “전셋값 하락세가 지속되면 전세 끼고 매입하려는 묻지마 갭투자 수요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다만 다음 달 시행되는 다주택자 매물이 시장에 나오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의견도 있다.

강남의 한 공인중개업소 대표는 “이미 나올 다주택자 매물들은 다 나왔다고 보면 된다”며 중과세가 4월부터 시행되는데 지금 매물이 나오기는 어렵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