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IT :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힘
새로운 책이 나오면 도서를 요약해서 공유해준다. 물론 모든 책은 아니지만 온라인 서점에 들어가도 목차와 주요내용은 기술해 놨다. 나오는 책들 모두 관심이 있고 보고 싶지만 솔직히 시중에 나오는 책을 다 볼 수 없기 때문에 앞으로는 새로나온책이나 그동안 읽지 못했던 책들의 요약 내용을 바탕으로 꾸준히 리뷰해보고자 한다. 책을 완독했을 때 보다 깊이는 없을 수 있으나, 인사이트를 얻는데는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다. 처음 시작하는 책은 'GRIT'이다.
GRIT이란?
성장(Growth), 회복력(Resilience), 내재적 동기(Intrinsic Motivation),
끈기(Tenacity)의 줄임말로 성공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투지를 나타냄.
우리는 성공한 사람들의 특징으로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해내는 힘을이야기 한다 그렇다면 그 비밀은 무엇일까? 이 비밀은 밝혀내기 위해서는 재능에 대해 질문해 보아야 한다.
재능은 얼마나 중요한가?
왜 어떤 사람들은 성공하고 어떤 사람들은 실패하는가? 1869년 프랜시스 공턴은 성취의 근원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였고, 아웃라이어는 재능과 열의 그리고 노력을 지니고 있다고 주장했다. 즉, 많은 연구들과 전문가들은 사람들은 재능보다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좀 의외이긴 하지만 재능과 노력 중에서 노력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두배 정도 많다. 또한 신입사원을 채용할 때 재능보다 근명성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다섯배 많다. 그러나 사람들은 실제로 노력보다 재능을 더 선호한다.
맥킨지에서 출판한 <인재전쟁>을 보면 현대 경제에서 기업의 흥망은 '최고의 인재를 확보하는 능력'에 있다라고 이야기 하고 있다. 우리는 흔히 음악가와 운동선수는 타고난 재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즉, 성공은 곧 '신비한 마법' 재능이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재능에만 집중하면 다른 측면들은 가릴 위험이 존재한다.
위의 내용을 보면 노력이 중요하다는 사람과 재능이 중요하다는 사람들의 상반된 의견이 존재한다. 과연 성공하는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웨스트포이트 미국 육군사관학교는매년 1만 4천명 이상의 지원자가 있으며, 추천서와 엄격한 학업 및 체력 기준으로 1,200명만이 입학 허가를 받는다. 또한 입학생의 대부분은 이전 학교 대표팀 선수이며 주장을 했던 사람이다. 하지만 이렇게 우수한 인력들도 중도에 포기하는 사람들이 나타난다. 남들이 보기에 '재능'을 가졌음에도 말이다.
그렇다면, 중도 포기하는 사람은 누구인가? 입학생 중 20퍼센트는 7주간 집중 훈련 일명 '비스트' 중에 그만둔다. 여러 세대의 심리학자들이 중퇴생 문제의 원인을 분석하려고 했지만 해답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다른 연구에서 그 이유를 밝혀 냈다. 바로 "절대 포기하지 않는 태도"라는 것이다. 이 연구는 웨스트포이트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한 인재들은 능력이 부족해서 포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위기 대처 능력과 재능은 아무 상관이 없다. 중요한 것은 절대 포기하지 않는 태도라고 이야기 한다.
그렇다면 "절대 포기하지 않는 태도"를 가진 사람들의 탁월함의 실체는 무엇인가? 이를 잘 설명해 주는 공식으로 재능에서 성취에 이르는 두개의 등식을 이해해야 한다.
재능 X 노력 = 기술
기술 X 노력 = 성취
재능이 중요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노력이다.
절대 포기하지 않는 힘 - GRIT
GRIT은 사전적으로 투지, 끈기, 불굴의 의지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그릿 첫도가 높은 사람은 웨스트포인트에서 중도 포기하지 않는다. 또한 신입사원 중 그릿이 높은 사람은 쉽게 그만두지 않는다. 그릿을 구성하는 요소는 열정과 끈기이다. 성공하는 사람들은 끈기 점수가 열정 점수보다 조금 더 높은 경향이 있다. 즉, 열정의 강도보다 열정의 지속성이 더 중요한 것이며, 그릿 점수는 시간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렇다면 "GRIT"을 키우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
"GRIT"을 키우기 위해서는 목표가 중요하다고 이야기 한다.
1. 목표를 정하고 위계화하라
그릿, 절대 포기하지 않는 힘은 목표에서 발휘된다. 최상위 목표를 정하고 구체적인 목표를 나열해야 한다. 열의는 흔하지만, 지속적인 열의는 드물다. 그 이유는 목표를 구조화 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릿은 아주 오랫동안 동일한 상위 목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 투지의 부족은 일관성이 부족한 목표 구조에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목표 달성을 위한 중간 또는 하위 수준의 목표를 제시하지 못한다.
열정에도 끈기가 필요하다. 낙관적 미래만 꿈꾸는 것은 긍정적 환상이다. 단기적인 이익이 아니라 장기적인 이익을 생각해야 한다. 그렇다면 그릿은 유전이 될까? 과학자들이 찾아낸 유전과 환경의 사실은 그릿과 재능은 유전자와 환경의 영향을 함께 받는다. 하지만 단 하나의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지 않는다. 사람들의 평균에 대해서는 유전율로 설명되지 않는다.
플린효과(Flynn dffrct)는 지난 세기 동안 IQ가 증가한 현상을 말한다. 일류의 추상적 사고력이 점점 향상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텔레비전 덕분에 사회적 승수 효과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그릿도 성장한다. 열심히 하는 능력은 하루 아침에 생기지 않는다. 우리가 성장해온 시대 문화에 의해 그릿이 결정된다. 나이가 들수록 그릿이 강해진다.
2. 관심사를 분명히 하라
2014년 갤럽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3분의 2이상이 직장에서 업무에 몰두하지 않으며 상당수는 딴짓을 한다고 한다. 이 조사는 전 세계적으로 13퍼센트만이 업무에 몰두한다고 평가했다. 이처럼 대다수의 사람들의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자기 직업을 좋아하는 사람들은 극소수인 것이다.
관심에 대해 연구한 과학자들의 결론을 살펴보면 사람들은 개인적 관심과 일치하는 일을 할 때 만족감을 느낀다. 즉, 사람들은 흥미로울 때 높은 성과를 올린다는 의미이다. 그렇다면 좋아하는 직업은 어떻게 찾는가? 직업을 좋아하는 마음이 갑자기 생기는 것은 꿈에 까깝다. 아동기에는 너무 어려서 무엇이 되고 싶은지 모르고 관심사는 자기 설창을 통해 발견되지 않으며 자기 자신도 모를 수 있다. 결론적으로는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분야를 찾기 위해서 우리는 끊임없이 질문하고 찾아야 한다.
3. 질적으로 다른 연습을 하라
인지심리학자 안데르스 에릭슨은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 10년간 1만 시간을 연습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더 오래 연습한다는 것이 아니라 의식적인 연습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의식적인 연습은 힘들다. 전문가들조차 의식적인 연습을 지속적으로 하기는 힘들다고 말하고 있다. 대대수의 경우 하루 3~5시간 정도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투지가 강한 사람들이 연습을 더 많이 한다. 힘들지만 의식적인 연습을 하는 것은 자신의 기술을 향상시키겠다는 의지다. 반면, 몰입은 즐겁고 사소한 기술의 일부가 향샹됐는지는 신경쓰지 않는다. 투지가 강한 사람은 의식적인 연습을 더 많이 하고 몰입도 더 많이 경험한다.
4. 목적의식을 가져라
대부분 사람들의 목적의식 형성단계는 자기중심적인 관심에서 출발해 절제하며 연습하는 법을 배운다. 마지막으로 타인중심 목적으로 통합되는 순서가 일반적이다. 하지만 그릿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목적의식은 타인의 행복에 기여하겠다는 의도. 즉, 자신이 하는 일이 다른 사람들에게도 중요하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는 것이다.
좋아하는 일을 할 때는 목적의식이 생긴다. 생업, 직업 그리고 천직의 차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같은 사람이 같은 직업을 생업, 직업, 천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반드시 롤모델을 찾아야 한다.
5. 다시 일어서는 희망을 가져라
무력감은 자신이 상황을 통제할 수 있는지에 따라 다르다. 낙관론자는 자신의 고통에 대해 일시적이고 구체적인 이유를 찾는다. 비관론자는 영구적이고 전반적인 원인을 찾는다. 성장형 사고방식인가, 고정형 사고방식인가?를 구분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성장형 사고방식은 사람이 변할 수 있다고 깊게 믿는 것이다. 고정형 사고방식은 재능은 훈련의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사람들의 내면에는 성장형 사고방식과 고정형 사고방식 모두 존재하는데도 말이다.
그렇다면 희망은 어떻게 기르는가? 성장형 사고방식을 가져야 한다. 성장형 사고방식은 칭찬만으로 만들어지지 않는다. 실패를 경험해보지 않은 사람은 성장형 사고방식을 갖기 힘들다.
그릿을 갖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당신은 어떤 사람인가? 훌륭한 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훌륭한 팀에 들어가야 한다. 훌륭한 선수가 된 뒤에 훌륭한 팀에 합류하는 것이 아니다. 훌륭한 팀과 훌륭한 선수 간의 인과관계는 양방향으로 작용한다. 강한 투지를 원한다면 투지가 넘치는 문화를 찾아서 합류해야 한다.
문화가 중요하다. 인간은 집단에 동조 욕구가 매우 강력하다. 개인은 자신과 다른 행동이나 사고를 하는 집단에 동조한다. 투지가 넘치는 문화를 만들면 구성원들도 투지가 넘치게 된다. 또한 문화는 각 개인의 정체성에도 영향을 미친다. 인간은 여러 방안의 득실을 따져 계산할 때도 있지만 열정과 끈기는 계산적인 분석에서 나오지 않는다. 우리가 스스로를 규정한 모습이 우리 힘의 원천이 된다.
'일상 > 도서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무엇을 하는 회사인가? (0) | 2017.04.15 |
---|---|
1등의 습관 : 찰스 두히그 (0) | 2017.04.14 |
나는 마트대신 부동산에 간다 (0) | 2017.04.12 |
당신은 겉보기에 노력하고 있을뿐 : 리샹룽 (0) | 2017.04.08 |
대한민국 부동산 투자 : 역시 (0) | 2017.04.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