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RDer역량 기본지식 및 스킬 : 교육내용분석

일상/HRD이야기|2017. 5. 22. 10:18
반응형

교육내용분석은 요구분석의 꽃이다.

필요성 : 내용 전문가에게 의뢰하거나 비슷한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접근 방법은 한계가 있다(직무과정일 경우 더 필요)
방   법 : ⓐ 직무분석  ⓑ 역량분석 

그동안의 요구분석에 해당되는 조직요구, 수행요구, 목적분석, 학습자분석 등은 솔직히 말하면 HRDer가 아니라도 할 수 있는 영역이다. 물론 체계화된 Tool을 기반으로 한다면 HRDer가 하는게 맞지만 그런 상황이 아니라면 전문성이 크게 중요하지 않은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내용분석은 HRDer가 존재하는 이유일 수 있다,

우리는 흔히 직무과정을 개발할 때 내용전문가에게 부탁한 뒤 손을 뗀다. 대략적인 방향성만 설명해 주고 업무를 마치는 것이다. 그 이후 강의안은 내용전문가가 개발하고 그 내용을 바탕으로 교재편집을 한 후 과정을 운영한다. 교육을 운영하면서도 요구분석을 기반으로 한 내용이 잘 도출되어 있는지 과제체계에 따라 강의안이 잘 구성되어 있는지 확인을 하지 않는다. 당연하다. 강의안을 그대로 받아 교재를 편집하는데 어떻게 내용에 대해 분석할 수 있겠는가. 직무과정을 개발할 때도 내용 전문가는 아니지만 실제로 어떤 과제순으로 내용을 구성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학습시켜야 하는지에 대한 구성을 설계하고 내용전문가에게는 세부 현장의 내용을 채워달라고 요청하고 확인점검을 해야 한다.

아니 도대체 내용전문가에게 강의안 개발을 맡기고 그걸 교재로 편집하는게 교육담당자 혹은 HRDer라면 너무 전문성이 없지 않는가? 아마 회사에서 언제든지 자르거나 없앨 수 있는 그런 직무와 사람이 될 것이다.


교육내용분석

교육의 필요 분석을 통해 교육 목적을 정하게 되면 이를 구현하기 위해서 어떤 내용을 가르쳐야 하는지를 정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관련 내용의 전문가에게 의뢰하거나 비슷한 교육프로그램을 실행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접근 방법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방법은 조직의 상황이나 맥락을 소홀하게 취급하고 전문가가 알고 있는 수준이나 내용이 일방적으로 전달되어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한계가 있음을 많이 경험하였을 것이다.

즉, 조직의 문제점을 정확히 분석하고 수행상의 요구를 찾아 교육을 실행하지만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직무능력 개발에 대한 교육과정일 경우에 더욱 그러한데 직무교육과정은 해당 직무에 대한 구체성과 상황 맥락을 더욱 많이 반영해야 하는 과
정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육 목적을 설정하면 학습자가 무엇을 학습해야 할 것인가를 명확히 결정해야 한다.

내용분석은 직무/과제 분석(job/task analysis)이나 역량 분석(competency analysis)을 통해 학습의 내용을 결정하는 단계이다. 직무/과제 분석은 학습 내용과 관련된 해당 직무(job)에서 어떤 일(duty)들이 수행이 되고 그 일을 수행하기 위해서 어떤 절차와 방법(task)으로 하는지를 밝히고 이어서 이 과제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규명하는 것이다. 규명된 지식, 기술, 태도 중에서 학습자들에게 중요하지만 현재 부족한 것들을 추출하여 교육 내용으로 정리하면 학습자 요구에 알맞은 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직무 과제 분석은 그 직무의 유형에 따라 위계분석, 절차분석 등의 기법을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현업에서DACUM(Developing A Curriculum) 워크숍을 사용한다. 이 기법은 탁월한 업무수행자(내용 전문가)들을 모아 직무, 임무, 과제를 도출하고 각 과제별로 수행에 필요한 지식, 스킬, 태도 등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HRD담당자(전문적인 훈련이 필요하며 워크숍의 퍼실리테이터의 역할을 수행한다)의 진행으로 이루어진다.

역량 분석은 해당 직무의 수행 결과를 먼저 도출하고 그 결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또는 기술, 도들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둔다. 이 방법도 CBC(Competency Based Curriculum) 워크숍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 기법은 직무와 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기보다는 직무 수행의 결과(예를 들어 민원부서의 경우 업무 수행의 결과는 민원만족도 등)를 얻어내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들을 알아내어 필요한 교육 내용을 찾는 것이다


출처 : 교육과정 개발의 첫단계 “요구분석”의 이해, 이영석 ORP 연구소장
        교육훈련 담당자 업무 매뉴얼, 중앙공무원교육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