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1.26 경제기사 공부하기

반응형

[경제] 美 다우지수 2만선 첫 돌파…120년만에 장중 최고치

트럼프랠리 본격 시동

미국의 대표 주가지수인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가 사상 처음으로 2만 선을 돌파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경제 활성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나면서 오랫동안 횡보세를 거듭했던 다우지수가 거침없이 2만 선을 넘어선 것이다. 다우지수가 2만 선을 넘어선 것은 18965월 지수가 첫 거래된 이후 120년 만에 처음이다.

25일 오전 9시 32분(현지시간) 현재 뉴욕증시에서 다우지수는 장을 열자마자 전일보다 92.88포인트(0.47%) 상승한 2만5.59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지수도 일제히 오름세를 보였다. 월가는 다우지수의 2만 선 돌파가 시간문제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전날인 24일 다우지수는 112.86포인트(0.57%)나 상승한 1만9912.71에 거래를 마감했고 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도 나란히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미국 증시는 트럼프 대통령의 규제완화와 인프라 투자가 예상보다 빠른 속도로 진행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긍정적으로 반응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4일 키스톤 XL 송유관과 다코타 대형 송유관 등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승인을 거부해온 2대 송유관 신설 프로젝트를 재협상하도록 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또한 제너럴모터스(GM), 포드, 피아트크라이슬러 등 미 자동차 빅3 기업의 최고경영자(CEO)를 만나 "미국에서 더 많은 자동차가 생산되고 더 많은 직원이 고용되길 바란다"며 "그럴 경우 규제를 축소하고 세금 혜택을 제공해 미국 사업이 훨씬 매력적이 되게 하겠다"고 공언한 점도 투자 심리를 되살리는 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다우지수는 지난해 11월 트럼프가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 인프라 투자, 감세, 규제완화의 경제활성화 정책 기대감 속에 이른바 '트럼프 랠리'를 펼쳤고 지난 연말 2만 선에 바짝 근접한 바 있다.

[경제] 작년 4분기 마이너스 성장 면했지만…소비절벽에 저성장 고착화

0.4% , 연간으론 2.7%

지난해 4분기 경제성장률이 전기 대비 0.4% 성장하면서 5분기 연속 0%대 성장을 이어갔다. 당초 일각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우려한 것에 비해선 선방했다는 평가다. 하지만 역대 최악의 '소비 절벽'이 본격화하고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식으면서 올해 성장 경로는 더욱 험난할 전망이다.

2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속보'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지난해 3분기(0.6%)보다 0.2%포인트 떨어진 0.4%에 그쳤다. 메르스 사태로 경기가 급랭했던 2015년 2분기(0.4%) 이후 1년 반 만에 최저치로, 5분기 연속 0%대 성장 국면에 갇힌 것이다. 2016년 한 해를 통틀어서는 2.7% 성장하며 2015년(2.6%) 이후 2년 연속 2%대 성장을 이어갔다. 지난해 4분기 들어 도널드 트럼프 리스크와 최순실 사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잇단 악재에 '마이너스 성장'까지 우려했던 것에 비하면 선방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특히 고전을 면치 못하던 설비 투자가 지난해 4분기 들어 전기(0.2%) 대비 큰 폭 오른 6.3%를 기록했고, 제조업 생산이 1.8% 늘면서 플러스로 돌아선 것이 주효했다. 한은 관계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전기·전자, 화학 업종 등 우리 주력 산업들이 전반적으로 좋은 흐름을 보였고, 그 결과 제조용 장비 투자가 늘었다"면서 "분기 성장률이 0.1%포인트만 높았더라면 연간 2.8% 성장도 가능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지난해 한국 경제를 떠받쳤던 내수 부문이 빠르게 식고 있어 올해 경제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지표가 바닥을 치면서 이어지는 올해 1분기도 추세적 흐름에서 반등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4분기 민간소비 증가율은 전기 대비 0.2%로 2011년 4분기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4분기는 연말 쇼핑시즌과 기업 상여금 지급 등으로 소비가 크게 늘어나는 시기임에도 크게 떨어진 것이다. 민간소비는 지난해 2분기(1%), 3분기(0.5%) 이후 추세적인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다. 여기다 정부가 고삐를 죄면서 건설경기가 빠르게 식고 있다. 4분기 건설투자는 3분기 3.5%에서 -1.7%로 급전직하했다. 지난해 2.7% 성장이 가능했던 것은 전년 동기 대비 11.8% 성장한 건설투자의 힘이 컸다. 건설투자의 성장기여도는 1.6%포인트로 건설투자를 뺀 나머지 부문에서는 1.1%밖에 성장하지 못한 것이다.

정규일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악화된 소비심리와 최근 체감물가 상승 등이 민간 소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금융] 부동산시장 건보료發 한파오나

"2천만원 이하 임대소득자도 지역 건보료"

연간 2000만원 이하 임대소득에 대한 건강보험료 부과 문제는 단순히 재원 확보 차원이 아니라 부동산 시장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주요 이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임대소득에 대한 건보료 부과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면서 기존대로 분리과세에 대해서는 건보료를 부과하지 말자는 입장이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은 건보료 무임승차 문제를 해결하려면 임대소득뿐만 아니라 모든 소득에 건보료를 부과해야 형평성에 맞는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문제는 민주당의 원칙론적 주장이 결국에는 사회취약계층의 부담을 늘리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연간 2000만원 이하 임대소득을 올리는 은퇴 계층에 소득을 이유로 자녀 건보 피부양자 자격을 박탈해서 건보 가입자로 새로 편입시키게 되면 집주인이 월세 등을 올리는 방식으로 세입자에게 부담을 전가할 수 있다.

정부 관계자는 25일 "분리과세소득에 건보료를 부과하게 되면 대다수 주택임대사업자는 피부양자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며 "이렇게 되면 지역 건보에 편입돼 건보료를 새로 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대체로 '쪽방'과 같이 소규모 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월세이기 때문에 고스란히 월세 인상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23일 건보료 개편안을 내놓고 내년부터 연간 1000만원 이상 소득과 재산 10억8000만원이 있으면 직장인 자녀의 피부양자 기준에서 탈락시키기로 했다. 또한 2~3단계에서는 연간 1000만원 이상 소득과 7억2000만원 이상 재산이 있으면 피부양자에 등록할 수 없다. 2단계가 2021년, 3단계가 2024년에 시작하기 때문에 곧바로 피부양자 기준에서 탈락하는 순간에 몰린 것이다.

현행 건강보험제도하에서는 재산이 18억원 이하이면 직장인 자녀의 피부양자로 등록해 건보료를 한 푼도 내지 않았다. 정부 관계자가 "건보료 개편을 단순하게 볼 게 아니고 2019년부터 분리과세로 전환하는 주택임대소득의 영향도 함께 봐야 한다"고 설명한 것도 이런 이유다.

복지부 추산에 따르면 10억원 주택에 연간 임대소득 2000만원을 거두고 있으면 매달 건보료로 20만원을 내야 한다. 직장 가입자의 피부양자 기준이 높아지면서 오히려 소규모 주택에 거주하는 서민에게 부담을 새롭게 지운다는 것이다.

또한 민주당 국민의당 정의당 등 야3당은 일용직 근로자의 소득도 기존에는 분리과세 소득으로 분류돼 건보료를 내지 않았는데 이마저도 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금융] 美 금리인상기, 中 주식은 올랐다

1994·2004년 금리인상은 경기회복 신호로 인식
中증시 2년새 1400→1700

지난해 미국 대선에서 도널드 트럼프 후보가 당선되고 연이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인상을 본격화하면서 중국 주식시장과 위안화가 동시에 약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그러자 한편에서는 새로운 금융위기를 걱정하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미국이 금리를 크게 인상했던 1994년과 2004년 우리나라의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과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이어졌음을 떠올리며 올해도 큰 위기가 시작되는 게 아닌가 불안해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1994년과 2004년 사례를 보면 당시 금리 인상 시작 시점과 금융위기 발생 시점 사이에는 시간차가 있었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금융위기의 원인이 금리 인상 자체에 있었던 게 아니라 금리 인상과 함께 나타난 경기 호황기에 자산 버블이 나타났기 때문이라는 얘기다.

먼저 1994년을 보자. 미국은 1994년 2월 3%였던 기준금리를 3.24%로 인상하며 금리 인상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이후 1년4개월간 3%포인트 인상하면서 1995년 6월에는 기준금리가 6%까지 올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기간 우리나라의 코스피는 918에서 930으로 오히려 상승했다. 당시 코스피가 500~1000 박스권에 장기간 갇혀 있던 점을 감안할 때 상당히 높은 수준을 유지했음을 알 수 있다. 원화값도 같은 기간 달러당 810원에서 760원으로 오히려 강세를 보였다.

한국에서 IMF 사태가 발생한 것은 미국 금리 인상이 시작되고 나서 약 3년 반이 지난 시점이었다. 상하이종합지수도 1994년 초 780이던 것이 1997년 말에는 1200까지 상승을 지속했다.

2004년 6월에는 미국이 1%였던 기준금리를 1.25%로 올리기 시작했다. 이후 2006년 6월까지 2년간 4.25%포인트를 올리는 공격적인 인상을 단행했다. 하지만 이 기간 코스피는 785에서 시작해 1297까지 상승했고, 2007년 10월에는 2000을 돌파하기에 이르렀다. 원화값도 2004년 6월 달러당 1160원이던 것이 2006년 6월에는 948원까지 내려가면서 원화 강세를 보였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같은 기간 1400에서 1700으로 상승했고, 코스피와 비슷하게 2007년 10월 6000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 두 차례 사례에서 볼 때 미국의 금리 인상은 경기 회복의 악재가 아니라 경기 회복이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하는 신호다. 금리 인상 이후에 나타났던 금융위기는 이 기간 중 자산 버블이 나타났기 때문이다. 즉 1997년 우리나라가 IMF 구제금융을 받은 것은 미국 금리 인상 이후 나타난 경기 회복에 취해서 단기 외채를 마구 끌어다 썼기 때문이지 미국 금리 인상 자체가 문제는 아니었다는 것이다. 2008년 미국 금융위기 사태도 마찬가지다.
여기에 하나 더, 미국 금리 인상으로 소위 '그레이트 로테이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가 이어지자 채권시장으로 블랙홀처럼 빨려 들어갔던 자금이 다시 빠져나오고 있다는 것이다. 이 자금이 주식·원자재 등 위험자산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면 1994년과 2004년에 봤던 주식 등 위험자산의 상승기가 재현될 수 있다.

이 정도로 막대한 규모의 채권 투자 자금 흐름을 바꿔 놓을 수 있는 유일한 방아쇠는 금리 상승뿐이다. 만일 미국이 빠른 속도로 금리 인상을 단행하면 시장의 우려와는 달리 오히려 중국의 주식시장과 위안화 환율 회복에 자극제가 될 것이다.

중국도 시진핑 정부 취임 이후 구조조정과 공급과잉 해소 노력을 계속해왔다. 향후 글로벌 경기 회복이 나타나면 중국의 동반 회복 가능성이 높은 것도 이 때문이다.

[부동산] 평택, 삼성공장 가동 눈앞…미분양 감소

귀성·귀경길…막힐 땐 옆으로 빠져 부동산 현장 둘러보세요

'평택에 집중하고, 원주·동탄·광주 등 주춤한 지역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대 명절인 설 연휴, 고향을 찾는 사람들이 둘러볼 만한 이슈 지역으로 이 네 곳이 지목됐다.

올해 설은 지난해 정부의 11·3 대책으로 한풀 꺾인 후 첫 명절이다. 시장은 얼었지만 수요는 여전히 존재한다. 특히 설 이후 개학이 시작되면 이사가 많아진다. 자연스럽게 부동산에 눈을 돌린다. 시장 모멘텀은 약해졌지만 이 때문에 더 꼼꼼히 현장을 둘러보고 판단할 필요가 있다.

설은 지방으로 이동하는 길목에 있는 수도권과 인근 지역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특히 개통 후 첫 명절 손님을 맞게 되는 SRT(수서발고속열차)와 제2영동고속도로(광주원주고속도로)를 통과하는 지역을 눈여겨봐야 한다. SRT역이 들어선 경기도 화성시 동탄과 평택시, 2영동고속도로의 시작인 경기도 광주와 끝인 강원도 원주 등이 주목되는 이유다.

SRT는 기착점인 수서를 제외하곤 2곳에 역을 두고 있다. 동탄과 평택(지제)이다. 두 지역 모두 공교롭게 '삼성전자' 수혜로 뜬 신도시라는 공통점이 있다. 동탄은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영향으로 날아오른 곳이다. 그러나 지난해 11·3 대책 발표 후 규제 지역으로 편입되면서 현재 시장은 다소 주춤하다. 일부 지역에선 미분양이 나는 등 규제 효과가 가시화하는 중이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동탄 중에서도 SRT역이 들어선 주변은 어떻게든 살아남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미 역 주변에 2017년부터 순차적으로 입주하는 반도유보라아이비파크와 2019년 입주하는 동탄역푸르지오시티 등 대규모 단지들이 채비를 마쳤다.

평택은 경기도에서 최근 전문가들의 주목을 받는 지역이다. 삼성전자가 15조원을 투자해 짓고 있는 평택 고덕산업단지 내 세계 최대 규모 반도체공장 덕분이다. 여기에 지난해 12월엔 SRT까지 개통하면서 서울 수서에서 평택까지 20분 정도면 도착할 수 있게 됐다. 직주근접과 교통 확충 등 더블 호재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실장은 "삼성전자 산업단지가 들어서는 데다 SRT 개통에 미군기지 이전까지 좋은 조건은 다 갖췄다고 볼 수 있다"면서 "평택은 자족형 도시로서도 충분히 설 수 있고, SRT 개통을 통해 서울 배후도시로서 매력도 갖췄다"고 전망했다. 이 덕분인지 미분양도 빠르게 소진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평택시 미분양은 지난해 8월 4596가구로 정점을 찍은 후 지난해 9월 4261가구, 10월 3394가구, 11월 2880가구, 12월 2773가구로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겨울 분양이 씨가 마른 가운데도 평택 쪽에선 분양이 활발하다. 동양건설산업의 고덕파라곤과 대우건설의 평택 비전레이크 푸르지오가 2월 분양을 앞두고 있다. 평택 비전레이크푸르지오와 고덕파라곤은 삼성전자 사업장이 지근거리이고, SRT역과도 가까워 최고 입지로 평가받는다. 3월에는 GS건설의 '고덕신도시 자연&자이(가칭)'도 공급된다. 평택 전체적으로는 올 한 해 공급되는 가구 숫자가 7000가구가 넘는다. 작년 개통한 제2영동고속도로의 시작과 끝인 두 지역도 주목된다. 경기도 광주는 서울, 그중에서도 강남과 가까운 수도권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교통이 좋지 못해 관심이 덜했다. 버스로 통근 시 경기도 광주에서 강남까지 1시간30분가량 걸린다는 것은 큰 약점이었다. 최근 들어 상황이 달라졌다. 지하철 경강선 경기광주역이 생기면서 판교까지 10분대, 강남역까지 30분대 이동이 가능해졌다. 또 제2영동고속도로로 불리는 광주원주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수도권뿐 아니라 광역 이동까지 편해졌다.

광주의 가장 큰 약점이었던 교통 문제가 해결되자 이 지역은 차가운 시장 분위기에도 선전하고 있다.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에 따르면 작년 5월 경기도 광주시 태전지구에서 분양한 '태전 아이파크'에서 가장 인기가 좋은 전용면적 72~84㎡는 1300만~1600만원의 웃돈이 붙어 있다.

신정섭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경강선이 개통되면서 기간시설이 확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가격이 분당보다 훨씬 싸다는 점이 매력적"이라며 "최근 아파트 분양이 많아 미분양 물량이 쌓이긴 했지만 1~2년 내에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강원도 원주는 공급과잉으로 몸살을 앓고 있으나 여전히 매력적인 시장으로 남아 있다. 함영진 리서치센터장은 "원주 미분양 사태가 크게 부각되고 있지만 원주의 절대인구 자체가 계속 증가세라는 게 중요하다"며 "같은 강원도라도 삼척이나 강릉 인구는 줄어드는 반면 원주는 가장 큰 폭으로 인구가 늘고 있다. 경험적으로 봤을 때 인구가 늘어나는 곳일수록 투자 리스크가 작다"고 평가했다.

양지영 실장은 "평창올림픽 등을 계기로 중국인 등 외국인 투자가 많이 들어올 여지가 있고 광주원주고속도로 등 교통 호재도 많다. 투자 가치가 충분하다"고 내다봤다. 현상으로만 보면 좋지 않아 보이지만 몇 년 내에 뜰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부동산] 2019년이후 공급과잉 해소될까…작년 주택인허가 5% 감소

"올해는 더 줄어들것" 전망


지난해 주택 인허가가 전년 대비 5%가량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주택 인허가 건수가 72만6048가구로 전년 대비 5.1% 감소했다고 25일 밝혔다. 전년보다는 줄었지만 2011~2015년 5년 평균(57만1435가구)보다는 여전히 27.1% 많은 수준이다.

지난해 인허가 물량 감소는 하반기 들어 공급과잉 우려가 커진 영향으로 보인다.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까지만 해도 인허가 물량은 전년 대비 18.4% 늘었으나 하반기에는 전년보다 20.3% 줄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올해 역시 공급과잉이 우려되는 데다 사업성이 양호한 택지 자체가 적어 인허가는 지난해보다 더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실제 주택산업연구원(58만가구)과 건설산업연구원(55만가구) 등은 올해 인허가 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전국 주택 착공 실적은 65만7956가구로 전년 대비 8.2% 줄었으며 분양 승인 실적 역시 46만9058가구로 10.7% 줄었다.

연간 기준으로는 줄었지만 지난달만 놓고 보면 인허가(8만9225가구), 착공(8만4204가구), 분양 승인(4만9445가구) 모두 전월 대비 1만가구 이상씩 늘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인허가는 통상 연말에 몰리는 경향이 있고 착공이나 분양 승인은 올해부터 강화된 집단대출 요건이 적용되기 때문에 이를 피하려는 수요가 몰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일반적으로 인허가로부터 입주까지 2~3년가량 소요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번 인허가 통계를 살펴보면 2~3년 후에는 신규 주택 공급이 줄어들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업계 일부에서는 최근 몇 년 사이에 인허가가 급증한 탓에 올해와 내년 2년간 전국에서 80만가구 가까운 신규 주택이 들어서는 공급과잉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인허가가 급증한 탓에 지난해 연간 준공 실적은 51만4775가구로 전년 대비 11.9% 늘어났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