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되는 경제기사(2019.05.20)

반응형

​<뉴욕마켓워치> 미·중 무역불안 지속…주가↓국채·달러↑ / 연합인포랙스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중국과의 무역 갈등에 대한 긴장이 지속하는 데 따라 하락했다.

미 국채 가격은 무역 긴장 속에서 지표 호조에 소폭 상승했고, 달러화 가치도 올랐다. 노딜 브렉시트 공포에 파운드화는 4개월 이내 최저치로 떨어졌다.

뉴욕 유가는 중동 지역 긴장에도 석유수출국기구(OPEC) 등 산유국의 증산 가능성에 제기되면서 소폭 하락했다.

◇ 주식시장

다우지수는 이번 주 0.69% 내렸다. S&P는 0.76%, 나스닥은 1.27% 하락했다.

시장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협상 및 자동차 관세 등 무역정책 관련 소식, 영국 브렉시트 상황 등에 촉각을 곤두세웠다.​

◇ 채권시장

통화정책에 민감한 2년 만기 국채수익률은 전 거래일보다 0.2bp 떨어진 2.205%에 거래됐다. 30년물과 2년물 국채수익률은 이번 주 4.8bp, 4.7bp 떨어졌다. 10년물과 2년물 격차는 전장 20.0bp에서 19.1bp로 축소됐다.

국채수익률은 가격과 반대로 움직인다.

중국이 무역 분쟁과 관련해 강경 발언을 쏟아낸 영향으로 장 초반 미 국채 값은 큰 폭 하락했다. 이후 미국 경제 지표가 호조세를 나타내고, 중국을 제외한 다른 나라와의 무역 긴장은 다소 줄어들자 뉴욕증시는 낙폭을 축소했다. 이 영향으로 안전자산 선호가 줄어 미 국채 값은 상승 폭을 대거 반납했다.

5월 미시간대 소비자태도지수 예비치는 102.4로, 전월 확정치인 97.2에서 올랐다. 미국 소비자들의 신뢰도가 최근 15년 동안 가장 높다는 의미다. 기대 심리 역시 200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 외환시장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화 가치를 반영한 달러 인덱스는 전장보다 0.18% 오른 97.990을 기록했다. 이번 주 내내 올라 주간 상승률은 0.69%에 달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우려는 이어졌지만, 상대적으로 좋은 미국 경제에 달러 매수는 계속됐다.

◇ 원유시장

​뉴욕상업거래소에서 6월물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배럴당 0.11달러(0.2%) 하락한 62.76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WTI는 이번 주 1.8% 올랐다.

원유시장 참가자들은 중동 지역 정세와 주요 산유국의 생산 관련 움직임 등을 주시했다. OPEC 및 주요 산유국의 증산 가능성이 제기됐다.



안전자산 美국채라도 `몰빵`은 피해라 / 매일경제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는 50년 전 주당 2만원이었던 것이 현재는 3억5000만원이 됐다"며 "복리 효과를 감안할 때 갓 태어난 아이들에게 주식을 사주는 것보다 소중한 선물은 없다"

황성민 에스엠투자자문 대표는 "원화값이 단기적으로 약세를 보일 땐 끝이 없을 것 같지만 지난 10년간 환율 추이를 보면 달러당 원화값이 1200원을 밑돈 구간은 전체 10년 중 3.77%밖에 안된다"고 말했다.

​ "노원 `4계동 시대` 열린다…저평가된 재건축에 기회" / 매일경제

"상대적으로 저평가된 서울 노원구 '4계동(상계동·중계동·하계동·월계동)'을 노려라."​

고준석 동국대 겸임교수는 2019 서울머니쇼 마지막 날인 지난 18일 '부자들만 아는 알짜 부동산 투자 해법'을 주제로 한 강연에서 이같이 말했다. 서울 아파트 가운데 전세를 끼거나 대출을 받고 본인 돈 3억~4억원을 넣어 투자할 만한 곳으로 '노원구 4계동'을 추천한 것이다. 이 일대는 서울에서 준공 30년 차에 접어든 아파트가 가장 많은 지역이다. 정부가 재건축 규제를 강화하면서 사업 속도는 아직 더딘 편이지만, 기존 학군과 개발 호재로 여전히 잠재력이 높다는 것.

고 교수는 "노원구 중계동은 대치동·목동과 함께 3대 학군으로 불려왔지만 서울 도심 접근성이 떨어지고 노후한 주택이 많아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면서 "서울시의 강북 균형발전 사업과 GTX-C 노선 사업 등 개발 호재가 진행되면서 실수요자는 물론 투자자들까지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노원구 숙원사업인 광운대역세권 개발 사업도 한창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은 지하철 1호선 광운대역 코레일 물류기지 용지·민자역사에 총사업비 2조5000억원 규모로 주거·업무·상업용 시설을 조성하는 프로젝트다.

고 교수는 "이 일대 아파트들은 가격 면에서 아직 저평가된 부분이 있기 때문에 잠재력이 높다"면서 "추가 공급이 꽉 막힌 상황에서 상계주공아파트 첫 분양 단지인 노원꿈에그린(상계주공 8단지 재건축) 등 새 아파트는 희소성이 커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또 "이 일대에서 유일하게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한 상계주공 5단지도 강북 재건축의 유망주로 주목할 만하다"고 덧붙였다. ​

이날 '혼돈의 부동산 시장 생존 전략'을 주제로 강연한 강영훈 '붇옹산의 부동산스터디' 대표는 서울 부동산에 투자할 시간이 많이 남아 있지 않다고 분석했다. 강 대표는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전면 철거 후 건설' 형태의 뉴타운이나 재개발 구역은 생각보다 많이 안 남았다"며 "부동산 투자나 내 집 마련을 고민 중이라면 그런 지역을 집중해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강 대표는 서울시의 정책 변화를 이유로 꼽았다. 서울시는 지난달 전면 철거 방식인 현행 재개발 사업을 '보존·재생'을 병행하는 형태로 바꾸는 내용의 '2030 서울시 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강 대표는 "이 계획이 현실화하면 과거와 같은 재개발 아파트는 앞으로 못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서울시는 박원순 시장 취임 이후 7년간 700곳 가까운 정비구역을 해제했다.

결국 2000년대 초·중반 이명박·오세훈 전 서울시장 시절 지정된 뉴타운이 서울 내 대규모 정비사업의 끝물이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강 대표는 "정비구역 일몰제로 인해 더 많은 정비사업이 무산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따라서 강 대표는 "남아 있는 대규모 뉴타운 중에서 주요 업무지구와 가깝고 교통 접근성이 편리한 곳을 눈여겨봐야 한다"고 말했다. 사업을 진행 중인 지구 중 수색·증산, 노량진, 한남 뉴타운이 대표 주자로 꼽힌다.

서울 인근 지역 중 최근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3기 신도시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과천이나 남양주는 기다려볼 만하다"고 말했다. 반면 강 대표는 "공공 분양 물량은 배제되는 수요자가 많고, 민영 물량도 당첨될 수 있다고 확신하기 힘들다"며 "불확실한 미래에 베팅하는 건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현 시장 상황에 대해 강 대표는 "아직 서울 부동산 시장은 버블의 초·중반 단계"라며 "규제가 없는 상황에서 주춤하고 있다면 폭락을 우려할 수 있지만 현재는 온갖 규제를 동원해 시장을 눌러놓은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심 교수도 "우리나라 집값은 주요 선진국 대도시와 비교하면 여전히 안정적인 수준"이라며 상승 요인이 남아 있다고 강조했다. 심 교수는 "글로벌 대도시 최고가 아파트 3.3㎡당 가격을 보면 뉴욕 맨해튼, 런던, 홍콩 모두 5억원 이상"이라며 "베이징 또한 2억원대"라고 소개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중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우리나라 거시경제 흐름에 따라 시장 분위기가 바뀔 수 있다고 진단했다. 심 교수는 "우리나라가 2%대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유지하면 큰 변화는 없겠지만, 1%에 가까워진다면 부동산 시장에도 충격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