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종합] 뉴욕증시, IB투자의견, 현금 늘리는 美큰손, 국내부동산

반응형

뉴욕증시, 글로벌 성장 둔화 우려 하락 출발 / 연합인포맥스


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22일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다시 고조되며 하락 출발했다.

오전 10시 5분(미 동부시간) 현재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17.17포인트(0.88%) 하락한 24,489.18에 거래됐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28.06포인트(1.05%) 내린 2,642.65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86.40포인트(1.21%) 떨어진 7,070.82에 거래됐다.

연휴 기간 나온 글로벌 성장 둔화 악재를 반영해 시장은 최근 연속 상승 흐름을 멈췄다. 뉴욕증시는 전일 마틴 루서 킹 데이로 휴장했다. 지난해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6.6%로, 1990년 이후 28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에다 중국 경기둔화를 이유로 3개월 만에 글로벌 경제 성장 전망치를 또 내려 잡았다.

IMF는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로 3.5%를 전망했다. 석 달 전에 제시한 전망치보다 0.2%포인트 낮아진 수치다. 지난해 7월 3.9%에서 계속 하향 조정되는 추세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중국 성장률 발표 후 이례적으로 간부 회의를 소집해 리스크에 대비할 것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 주석은 "어떤 '블랙스완' 사건에 경계를 유지하고, '회색 코뿔소'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중국 경제 지표를 언급하며 "중국이 무역협상에서 장난치는 것을 중단하고 진짜 합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무역협상 관련해 우려도 커졌다. 미국이 캐나다에 중국 화웨이의 최고재무책임자(CFO) 멍완저우 부회장의 신병 인도를 공식 요청할 계획이라는 보도가 나오자 중국은 즉각 반발했다. 무역협상을 진행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은 다소 완화적인 입장을 내놓고 있지만, 지적 재산권 등과 관련된 핵심 이슈에서는 여전히 이견을 보인다.

최근 뉴욕증시가 가파른 반등세를 보인 만큼 차익실현 욕구도 커진 상태다.

시장은 미·중 무역협상에 대한 낙관이 계속되고 미국 기업 실적이 우려했던 것보다는 괜찮다는 안도 속에 4주 연속 상승세를 보였다. 지난해 8월 이후 가장 긴 연속 주간 상승 기록이며, S&P500의 경우 크리스마스이브 전저점 대비 10% 이상 오르기도 했다.

미국 정부의 부분폐쇄(셧다운)는 31일째로 접어들었다. 기업 실적 영향력을 다소 줄었다. 팩트셋에 따르면 지난주까지 S&P500의 11%가 실적을 공개했다. 56%가 예상을 상회했고, 60%가 5년 평균을 하회했다. 장 초반 존슨앤드존슨이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 이후 1.5% 하락했고, IBM이 실적 발표를 앞두고 0.3% 떨어졌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가파른 반등 이후 시장의 우려가 커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파이퍼 제프리의 크레이그 존슨 수석 시장 분석가는 "시장 회복은 인상적이었지만, 최근 'V'자형 형태의 회복에 대한 우려는 여전히 있다"며 "2011년과 2016년과 마찬가지로 역사적인 저점 조정에 다시 돌입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 쏠려 있는 투자심리를 보면 12월 저점을 다시 찍을 수도 있지만, 현 회복 과정에서 이중 바닥이 꼭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충분한 증거들도 있다"고 설명했다.

유럽 주요국 주가도 하락했다. 범유럽지수인 Stoxx 600지수는 0.48% 내렸다. 국제유가는 상승했다. 2월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가격은 전 거래일보다 2.73% 하락한 52.33달러에, 브렌트유는 2.28% 떨어진 61.27달러에 움직였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3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0.5% 반영했다.

1월 22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 써치엠글로벌


▲ Lam Research(LRCX): Lynx Equity Strategies는 웨이퍼 팹 장비 수요 전망을 고려할 때, '19년 하반기에도 상승세로의 반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펀더멘털이 추가로 악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현재 주가는 적정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 Shopify(SHOP): Roth Capital은 채널 조사 결과, Shopify의 결제/배송 솔루션을 이용하는 매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80달러를 유지했다.

▲ Intel(INTC): Northland Capital은 미-중 무역마찰로 인해 '18년 하반기에는 제품 사전 수요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했으며, 이것이 1분기 판매 저조로 나타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투자의견 underperform, 목표주가 42달러를 유지했다.

▲ VMware(VMW): William Blair는 현금흐름을 분석했을 때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이 매력적이라고 강조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했다.

▲ Tesla(TSLA): Goldman Sachs는 동사가 비용절감을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지만, 미국에서의 세금 혜택 소멸을 고려할 때 추가적인 가격인하가 필요할 수 있다고 보았다. 투자의견 매도, 목표주가 225달러를 유지했다.

▲ Intuit(INTU): Credit Suisse는 세제 개편 효과 상실에 따른 타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았으며, '19년 리스크 대비 보상 비율이 매력적이라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250달러에서 25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Under Armour(UAA): Goldman Sachs는 해외 시장 개척, 소비자직접판매 채널 확충 등으로 이익률 개선이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동사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강력매수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 28달러를 제시했다.

▲ Tiffany(TIF): Goldman Sachs는 럭셔리 시장이 난항을 겪고 있다는 증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목표주가를 136달러에서 104달러로 하향 조정했다.

▲ Activision Blizzard(ATVI): Needham은 Bungie와의 제휴 종료와 이에 따른 영향을 분석한 결과, FY19 비GAAP 매출 전망치를 3.03억 달러 하향 조정했다. 하지만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60달러는 유지했다.

미국 월가 투자자들이 주식시장 불안감에 너도나도 현금 확보에 나서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불안한 장세가 지속되자 주식시장에서 돈을 빼 현금성 자산인 머니마켓펀드(MMF)로 자금을 옮기는 모습이다.

2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시장조사기관 리퍼의 자료를 인용해 보도한 바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MMF 유입량은 1900억달러(약 215조4274억원)에 달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최대 유입량이다. 연초 이후 17일까지 약 2주 새 20억달러(약 2조2602억원)의 자금이 MMF로 추가 유입된 것을 감안하면, 당분간 이러한 현금 확보 추세는 계속될 전망이다.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투자자들이 현금 보유량을 늘리면 주식시장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1952년 이후 투자자들의 현금 보유량이 커질 때마다 수년간 뉴욕의 대표 주가지수인 S&P500지수가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는 게 골드만삭스 측의 주장이다.

골드만삭스는 투자자들의 현금 비중 확대가 경기 침체를 암시한다고도 경고했다. 과거 자료에 비춰볼 때 투자자들의 현금 보유 비중은 1952년 이래 경기침체에 앞서 약 1년에서 1년 3개월간 증가세를 보였다.

강남권에서도 핵심지로 불리는 대치동과 개포동 재건축 아파트 시세도 급락했다. 은마아파트와 개포주공4단지 등은 최소 2억~5억원 가까이 실거래가가 빠졌다. 같은 강남권이라도 신축 아파트들은 가격 하락을 버텨내며 강보합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재건축 아파트의 하락세는 뚜렷하다. 지난 상승장에 동승하지 못했던 실수요자들과 투자자들은 강남 입성 기회를 호시탐탐 고심하고 있다.

매일경제신문은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부동산전문위원,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 이상우 유진투자증권 애널리스트 등 부동산 전문가 4인에게 서울 재건축 아파트 투자 타이밍에 대한 조언을 구했다. 혼란스러운 시장 상황을 반영하듯 네 명의 전문가들은 제각기 다른 타이밍을 짚어냈다. 당장 집을 사야 한다는 의견부터 최소 1~2년은 기다리라는 주장까지 의견 차가 컸다.

상승론을 펴고 있는 이상우 애널리스트는 `지금 당장` 아파트를 사야 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핵심은 지금 부동산시장이 바닥을 찍었느냐는 것인데 KB부동산의 주간 보고서를 분석해보면 매수 의향이 최근 3주간 회복하고 있다"며 "작년 9월 이후 급격히 줄었던 거래량이 조금씩 늘어나는 점도 눈여겨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파트 매매가 하락과 거래량 축소는 여전히 부정적인 시그널이지만, 회복 경향성이 엿보인다는 의미다.

이 애널리스트는 "전통적으로 설날과 추석 등 명절을 전후해 급격히 변화하는 한국 부동산 특징을 감안하면 설 연휴를 전후해 집값이 반등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여전히 서울 아파트에 대한 대기수요가 넘쳐나기 때문에 가격이 떨어질 때만 기다리는 매수 대기자들의 눈치 보기가 머지않아 실제 매수로 이어질 것이란 의견이다.

반면 고종완 원장은 1~2년간은 지켜보자는 상반된 주장을 폈다. 그는 "재건축 거품이 낀 만큼 빠지는 데도 시간이 꽤 걸릴 것"이라며 "크게 올랐기 때문에 크게 떨어지는 건 당연하다"고 말했다. 고 원장은 "오랜 기간 가격이 조정돼야 시장이 안정화될 수 있다"며 "추가 하락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금은 집을 살 때가 아니다"고 단언했다.

고 원장은 이어 "부동산은 단타 거래가 아니기 때문에 멀리 내다보고 미래가치가 올라갈 만한 곳들을 주목해야 한다"며 "몇 년 후 확 달라질 강북의 청량리, 강남의 삼성역 등은 물론 서울시가 미관지구를 해제해서 효과를 보는 지역을 집중해서 볼 것"을 주문했다.

다른 전문가들은 `관망세`다. 대부분 이르면 1분기, 늦어도 상반기까지는 지켜보라는 입장이다. 박원갑 전문위원은 "시장에서 1~2월에 급매물량이 얼마나 소화되느냐가 핵심"이라며 "1분기 거래량이 사실상 올해 집값 향방을 결정지을 것으로 보이는데, 그때까지는 신중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박 전문위원은 "재건축 아파트 중에도 여전히 최고가와 엇비슷한 호가가 유지되는 아파트들도 있기 때문에 단지별 사업 추진 현황과 가격 동향을 면밀히 살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함영진 랩장은 `상반기 대외변수`를 올해 부동산시장의 분수령으로 점쳤다.

부동산 가격과 거래량뿐 아니라 정부 정책과 금리 등 경제 변수 효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얘기다. 함 랩장은 "상반기를 지켜본 뒤 하반기에 본격적인 투자에 나서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며 "현재 매수자 우위 시장에서 조급하게 매입할 필요는 없다"고 말했다. 올해도 전국에서 38만가구가 입주하기 때문에 상반기까지는 신중한 시장 예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다만 함 랩장은 "상반기에 부동산 가격이 더욱 급락하면 정부에서도 규제 일변도 정책을 유지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정부 정책이 바뀔 수 있는 하반기에 승부수를 던지라는 조언을 덧붙였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