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1.31 경제기사 공부하기

반응형

[경영일반] '최대 30% 할인 교통카드 도입, 민자고속도로 통행료 인하 '

  - 광역 알뜰교통카드를 도입하고 민자도로 통행료를 낮춘다. GTX-A 노선 등 광역급행 교통망을 늘리고 좌석예약제 적용
  - 국토부는 최대 30% 요금 할인이 되는 광역 알뜰교통카드를 발행한다
  - 올 상반기 울산, 전주에서 정기권 시범사업을, 세종에서 마일리지 연계 할인 사업을 진행한 후 전국적으로 확대할 방침
  - 수도권 광역버스 운행거리 제한도 현행 30km에서 50km로 완화해 환승할인 적용범위를 넓힌다
  - 고속도로 통행료도 인하. 오는 4월까지 서울~춘천, 서울 외곽 북부구간, 수원~광명 민자고속도로 3개 노선 통행료 인하
  - 고속도로 휴게소도 매장에서 대기할 필요 없이 모바일 선주문·결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 갖춰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의 교통비를 할인해 주겠다는 것이고 내수 관광을 위해 고속도로 요금정책도 쓰는 것 같은데 과연 예산대비 효과가 있을까? 결국 서울의 아파트값이 비싸서 광역권으로 넘어간 이들이 대부분이다. 그럼 반대로 생각해보자 그들은 상대적으로 서울에 사는 사람들보다 주택가격이 저렴하다. 대신 시간을 많이 소비한다. 서울에 집이 있는 사람들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많은 비용의 주택비용을 지불하며 서울에 살고 있다. 누구를 지원해 주는게 옳다는 이야기를 하려는게 아니다. 서울의 비싼 집값 때문에 외곽으로 나가 출퇴근이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대중교통 정책은 좋은데 실질적이고 명확한 근기가 있는 상태에서 사업을 하는가에 대해 궁금해서 그런다]

[금융] [MT리포트]삼성전자 '통큰 액분'…주목받는 李 부회장 '주주경영론'

  - 삼성전자가 역대 최고 수준의 배당과 함께 50대 1이라는 '통 큰' 액면분할을 결정하면서 주주 경영론에 관심
  - 주식 액면가를 주당 5000원에서 100원으로 분할키로 결정했다. 주당 250만원을 웃도는 주가가 5만원대로 낮아진다
  - 투자 문턱이 낮아질 수 있어 삼성전자가 '황제주'의 지위를 버리고 '국민주'로 거듭났다는 평가
  - 삼성전자는 또 2017년 잉여현금흐름의 절반인 5조8000억원 전액을 주주들에 배당키로 지급키로 결정
  - 이는 2016년 연간 배당액 4조원보다 약 46% 증가한 수치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배당을 확대해도 결국 외국인 주주들 배만 불리는 게 아니냐는 지적이 있어 왔다"며 "이번 액면분할이 투자자 저변을 확대함과 동시에 기업의 장기가치 제고에도 긍정적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삼성전자의 획기적인 주주환원책에는 당연히 현재 삼성전자 등기이사인 이 부회장의 의중이 작용했을 것이란 관측이다. 실제로 이 부회장은 현재 진행 중인 재판에서 '주주와 임직원들로부터 인정받아야만 진정한 경영인이 될 수 있다'는 평소 경영소신을 꾸준히 밝혀왔다]

 

[금융] '통 큰 액분' 삼성전자, 애플·아모레·SKT 등 과거 사례보니…

[애플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애플은 현재까지 4차례 액면분할을 실시하면서 55만원 안팎이던 주가를 10만원선(2014년 주식분할 당시)까지 낮췄다. 이에 최근까지 주가(지난 30일 기준 약 18만원)는 약 80% 이상 올랐다.애플의 기업가치는 그대로지만 액면분할로 유통주식 수가 늘면서 최근에는 4600만주가 넘는 주식거래가 일어나고 있다. 액면분할 전에는 약 1000만주였던 일 평균 거래량이 다섯 배가량 늘어난 것이다. 전문가들은 애플처럼 삼성전자의 액면분할도 주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김양재 KTB투자증권 연구원은 "애플은 액면분할을 단행한 후 개인투자자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수급이 개선되고 주가가 양호한 흐름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기존 수급구도가 외국인과 기관투자자 중심이던 삼성전자도 액면분할 이후 일반투자자가 매입할 수 있는 가격대가 됐다"며 "수급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장에서는 아모레퍼시픽과 SK텔레콤의 사례를 근거로 제시했다. 2015년 아모레퍼시픽은 5000원인 액면가를 500원으로 쪼갰다. 380만원이 넘었던 주식이 38만원대가 되면서 분할 직후 거래량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이에 주가도 약 두달만에 45만원대까지 치솟았지만 그 뒤 주가는 점차 하락세를 보였다. 중국과의 사드 갈등 등으로 중국 시장의 매출이 급감하면서 실적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현재 아모레퍼시픽의 주가는 30만원 수준이다. 이에 앞서 2000년 액면분할을 단행했단 SK텔레콤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액면가를 5000원에서 500원으로 낮추면서 주가는 약 두달 만에 26%(2000년 6월 당시 37만원대) 가량 상승했지만 현재는 26만원대로 주저앉은 상태다. 같은 증권사의 류용석 시장전략팀장은 "액면분할은 기업 펀더멘털(기초체력)에는 변화를 주지 못하는 이벤트"라며 "주가는 시간이 지나면 대체로 제자리를 찾아가게 된다"고 말했다. 이종우 IBK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 또한 "삼성전자 액면분할이 단기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장기적으로 시장을 이끌고 가지는 못할 재료"라며 "액면분할로 기업의 본질적 가치가 바뀌지는 않는다"고 강조했다.]

[금융] [MT리포트]"1株에 3.5억원"…버핏이 액면분할 꺼리는 이유는?

['투자의 귀재' 워런 버핏이 이끄는 버크셔해서웨이(이하 버크셔)는 세계에서 주가가 가장 비싼 기업으로 꼽힌다. 30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시에서 이 회사 주가(A주)는 무려 32만3000달러(약 3억4600만원)를 기록했다. 웬만한 '큰손'이 아니고는 엄두를 낼 수 없는 가격이다.

버핏이 처음 버크셔에 투자한 건 1962년 12월의 일이다. 주당 7.5달러에 2000주를 매입했다. 버핏은 1965년 아예 이 회사 경영권을 인수했다. 당시 작은 방직회사에 불과했던 버크셔는 현재 90여개의 자회사를 거느린 초대형 지주회사로 성장했다. 7.5달러였던 주가는 무려 430만% 올랐다. 미국에서 주가가 1000달러 선에 오른 기업이 아마존, 알파벳(구글 모회사) 등 손에 꼽을 정도인 걸 보면 버크셔의 주가는 그야말로 압도적이다. 버크셔는 1980년대에 1000달러 선을 넘었다.

문제는 버크셔 주가가 급등하면서 일반인들의 투자 수요를 소화할 수 없게 됐다는 점이다. 공개시장에서 주식이 거래되는 상장기업이라는 정체성이 모호해졌다. 그럼에도 버핏은 일찍이 주식을 쪼개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대신 그는 1996년 기존 주식을 'A주'로 삼아 A주의 30분의 1 가격에 'B주'를 발행했다. 2010년에는 B주를 50대 1로 액면분할해 가격을 더 낮췄다. 이 결과 B주 가격은 A주의 1500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개미'들의 투자 기회가 대폭 넓어진 셈이다. 그 사이 버핏의 고향인 미국 네브라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리는 버크셔의 연례 주주총회는 버핏을 추종하는 이들의 축제로 자리매김했다. 버크셔 B주는 이날 214.41달러를 기록했다.

버핏은 버크셔 A주의 액면분할을 왜 꺼리는지 명확한 이유를 따로 밝히지 않았다. 전문가들은 그의 가치투자 철학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넘겨짚을 뿐이다. 성장 잠재력을 보고 주식을 매입해 장기간 보유하는 걸 투자원칙으로 삼는 버핏이 몸소 버크셔를 통해 가치투자의 모범을 보여주려 한다는 것이다. 버크셔 A주가 지난 50여년간 보여준 성적표가 곧 버핏의 가치투자 철학의 증표가 되는 셈이다. 일각에서는 버핏이 '세계에서 가장 비싼 주식'이라는 버크셔의 타이틀을 내려놓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액면분할로 바뀔 게 없다는 게 버핏의 생각이기도 하다고 전했다. 액면분할로 유통되는 주식 수를 늘리고 주가를 낮춰봐야 근본적인 기업 가치가 바뀌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버핏은 버크셔 주가가 1300달러 수준이던 1984년 주주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액면분할이 기업 가치보다 주가에 초점을 맞춘 행위라고 비판한 바 있다. 그러면서 단지 액면분할 때문에 투자하는 이들은 결국 주주의 질을 떨어뜨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WSJ는 미국 주요 기업들도 최근 액면분할을 꺼리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S&P다우존스지수에 따르면 1990년대에는 뉴욕증시 간판 지수인 S&P500에 편입된 기업 가운데 평균 64곳이 매년 액면분할을 했다. 1997년에는 무려 102건의 액면분할이 있었다. 그러나 2008~2016년에 액면분할을 한 기업은 연평균 11곳에 불과했다. 특히 2016년에는 7곳으로 줄었다.]

[부동산] ‘후분양제 밑그림’ 상반기 윤곽…주택시장 태풍되나

  - 국토교통부 ‘장기 주거종합계획’ 마련, 공공ㆍ민간부문 후분양제 로드맵 담겨, “LH 공급계획에 하반기 사례 나올수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