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4 돈되는 경제기사

반응형

한국 증시 장중 리뷰:
코스닥, 2차전지·제약 강세에
7개월만에 최고치 기록

• 코스닥, 지난 해 9월 이후 최고치 기록
코스피는 외국인의 현물 순매도 및 프로그램 비차익 순매도 영향으로 강보합권에서 등락을 거듭한 반면, 코스닥은 외국인의 1600억원 넘는 순매수와 2차전지·제약 등 시가총액 비중이 큰 기업들의 주가 상승에 힘입어 2022년 9월 1일 이후 최고치 기록

달러/원 환율은 전일대비 12.3원 하락한 1303.50원*14시20분 기준으로 전일 발표된 2월 소비자물가지수 잠정치가 시장 예상(YoY +8.2%)을 상회한 +8.5%를 기록하며 전월(+8.6%)대비 크게 낮아지지 않은 점에, 달러대비 유로화가 강세를 보이며 원화 약세 흐름 제한

또한 장중 발표된 중국의 2월 차이신 서비스업PMI는 55.5를 기록하며 전월(52.9)과 예상(54.5)를 상회하며 중국 경기 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진 것으로 판단됨. 특히 중국 내 최대 정치 이벤트인 양회*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4일·전국인민대표대회 5일가 개최될 예정. 올해 예상 경제성장률 목표와 경기부양에 대한 기대감 당분간 높게 형성될 것으로 예상됨

아시아 증시 장중 리뷰:
홍콩증시, 에너지·통신 등
빅테크 업종 상승

• 중국 증시 상승. 통신, 교통, 건설 등 중국 국유기업 및 정책 지원 기대감에 반도체주 강세. 다만 양회를 앞두고 관망세 작용하며 상승폭 제한.

  - 반도체주 강세. 류허 부총리가 반도체 기업 좌담회를 주재해 중국의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역량을 발휘, 기업 어려움 지원 및 해결, 외국인 전문가 우대를 통한 기업의 인재 도입과 육성 등을 강조했다는 소식 전해지며 기대감 확대

• 홍콩 주요 지수 상승. 에너지, 통신 빅테크 업종 상승.

  - 동영상 스트리밍 플랫폼인 비리비리(09626.HK)는 예상치를 부합한 실적 발표에 강세. 2022년 매출액 13% 증가, DAU +29% YoY 기록. 또한 컨퍼런스콜에서 2023년 적자폭 축소, 2024년 흑자전환 목표를 제시

  - 바이두(09626.HK) 상승세 지속. 바이두의 ChatGPT \'\'어니봇\'\'이 3월 16일 발표 예정이라는 소식애 기대감 확대

미 증시 전망:
ISM서비스업지수와 발언

• 1월 서프라이즈 했던 ISM서비스업지수…확장세 지속 예상
지난 겨울 폭풍과 홍수 등 날씨 영향으로 크게 둔화했던 12월 ISM서비스업지수는 1월 크게 반등하며 미국 경제의 80%를 차지하는 서비스업 경기가 견조함을 나타냄. 실제 12월 갑작스러운 위축 이전에 미국 서비스업 경기는 30개월 연속 확장하는 모습을 보였고, 최근 발표되는 경제지표들을 반영할 경우 오늘 나올 예정인 2월 결과 역시 확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됨. 특히 세부항목 중 신규주문, 생산 이외에 고용과 물가 관련한 지표도 견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어떻게 변화하는 지 주목할 필요가 있음. 만약 전월대비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강도높은 긴축에 대한 시장의 우려 커질 가능성 있음

전일 발표된 4분기 노동생산성과 단위비용의 경우 생산성은 감소하고 비용은 증가한 것으로 발표. 노동생산성은 전분기 1.2%대비 개선된 1.7%로 발표됐으나, 시장 예상 2.6%를 하회하였고 노동단위비용의 경우 전분기 6.9%에서 크게 감소한 3.2%로 발표했으나, 시장 예상 1.6%를 상회. 이는 기업 입장에서 생산성은 낮아지고 비용은 높아지는 것으로 운영 효율성은 떨어지고, 수익성은 악화할 수 있는 문제인만큼 향후 추가적인 관찰이 필요할 것임

오늘 예정된 연준 위원 발언 중 토마스바킨*리치몬드 연은 총재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 바킨 총재는 스탠포드大에서 “무엇이 인플레이션을 계속 상승시키는가?”란 주제로 연설을 할 예정. 그의 발표에서 향후 인플레이션 둔화를 위한 필요조건이 무엇인지 힌트를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이외 로리로건*댈러스 연은총재와 미셸 보우면*연준이사의 발언 예정되어 있음. 오는 주말에는 메리 데일리*샌프란시스코 연은총재가 프린스턴大에서 “인플레이션: 지금 어디에 있고 어디로 가고 있는가?”란 주제로 발표할 예정. 이 역시 바킨 총재 발표와 함께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인플레이션 전망에 통찰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관심 갖고 지켜볼 필요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