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3.01 돈되는 경제기사

반응형

한국 증시 장중 리뷰:
코스피, 상승 출발 후 원화 약세, 외국인 매물 출회에 상승폭 축소

• 코스피 코스닥 상승. 전일 미국 증시가 금요일 하락에 따른 반발 매수 유입과 금리 하락에 따라 상승하면서 국내 증시 투자심리에도 긍정적으로 작용. 다만, 오후들어 코스피에서 외국인 매도 전환, 달러/원 환율은 5원이상 하락 출발 후 장중 재차 1320원대로 복귀하면서 지수 상승폭 일부 축소

  - 2차전지 업종 상승 지속. 테슬라의 투자자의 날 임박에 따른 기대감 유입과 엘앤애프-테슬라의 3.8조 규모 양극재 공급 계약 체결 소식에 강세

아시아 증시 장중 리뷰:
중화권 증시, ‘디지털중국 건설 계획’ 발표에 IT, 통신 업종 상승

• 중화권 주요 지수 상승 출발 후 혼조세 전환. 중국 국무원의 ‘디지털중국 건설 계획’ 발표에 따라 장초반 5G, 통신장비, IT S/W 등 기술주 전반 상승. 다만 오후들어 백주, 태양광, 자동차 업종 하락하며 상해종합지수 하락 전환. 위안화도 재차 상승하면서 외국인 매물 출회 확대. 3월 1일부터 홍콩의 마스크 의무착용 해제 소식이 전해졌지만 리오프닝 관련주 주가에는 영향 미미

  - 태양광 약세. 태양광 유리 생산 대표 기업인 신의광능(00968.HK)이 예상치를 하회한 실적을 발표하며 업종 전반 투자심리 위축. 원가 상승 압박과 태양광 유리 가격 하락에 따른 마진 축소, 하반기 공급 과잉 우려도 확대

  - 중국 광전총국이 미성년자의 숏폼 컨텐츠 중독 문제 방지를 위해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는 소식에 비리비리(09626.HK), 콰이쇼우(01024.HK) 등 약세

미 증시 전망:
월말 눈치보기

• 2월, S&P 500 -2.3% 수익률 기록
미 S&P 500 기준 1월 수익률은 +6.3%를 기록했지만, 2월은 현재까지 -2.3%로 연초 상승랠리의 분위기가 약간 냉각되는 분위기. 2월들어 발표된 고용 및 물가, 실물 경제지표가 견조하게 나오면서 미국 경제가 높은 금리에 잘 적응하고 있다는 걸 보여줬기 때문. 결국 연준의 추가 긴축에 대한 우려가 위험자산 회피, 안전자산 선호 현상을 강화하며 투자심리 위축을 가속화. 현재 시장이 전망하는 최종금리는 5.4%로 이달 초 4.8%에서 약 60bp 정도 상승. 이를 반영한다면 시장은 연준이 25bp씩 향후 3차례나 더 기준금리 인상할 것으로 봐. 오는 3월 21~22일 FOMC를 앞두고 발표되는 고용, 물가 등 데이터에 따라 변동성은 더욱 커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전일 발표된 내구재 주문은 12월에 하향 수정된 전월대비 5.1% 증가에서 1월 4.5% 감소 기록. 운송을 제외한 내구재주문은 12월 0.4% 감소에서 1월 0.7% 증가를 기록해 10개월 만에 가장 높아. 특히 항공기를 제외한 비국방 자본재주문은 12월 0.3% 감소에서 1월 0.8% 증가를 기록하며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 기업들의 투자 심리가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음을 반증. 1월 잠정주택 판매 전월대비 8.1% 증가하며 주택시장 매매심리가 개선되고 있음을 나타내

오늘 미 증시에서 살펴볼 주요 이슈로는 우선 유통소매업체인 타겟의 4분기 실적으로 장 시작 전 나올 예정. 지난 주 월마트가 올해 소비자지출에 대한 전망을 보수적으로 하면서 주가가 부진했는데 타겟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 특히 재고와 마진 관리를 어떻게 할 지에 대한 회사의 논평 중요. 다음으로 찰스 에반스에 이어 시카고 연은 총재로 취임한 오스탄 굴스비의 첫 공식석상 발언에 주목할 필요. 올해 FOMC 의결권을 갖고 있는 만큼 중도적 성향으로 알려진 그의 발언 강도를 잘 살펴야. 마지막으로 컨퍼런스보드 소비자신뢰지수를 비롯한 주택가격, 리치몬드 제조업지수 등 발표 예정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