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종합] 한은기준금리, 뉴욕증시, IB투자의견, 부동산심리, 초격차
'이유있는' 韓銀의 기준금리 인하 / 연합인포맥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전에는 시기에 따라 경기가 악화하거나 금리를 내릴 수밖에 없었던 신호들이 언론에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연합인포맥스가 2008년부터 약 10년 동안 한국은행 기준금리 보도를 분석한 결과 기사에는 해당 시기의 핵심적인 경기 상황을 대변해주는 단어들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2008년 금융위기 시기에는 '환율'이나 '유동성'이 단어 빈도 순위 20위권 안에 등장해 당시 경기 상황을 짐작하게 했다. 한국은행은 2008년 10월부터 5개월 동안 기준금리를 5.25%에서 2.0%까지 단기간 큰 폭으로 인하했다. 2008년 10월에는 긴급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하며 한 달에 두 차례 회의를 열기도 했다.
2012년 7월 기준금리 인하 전 언론 보도에는 '중국'(9위)과 '유럽'(11위), '위기'(12위)가 단어 순위 상위권에 나타났다. 유럽 재정위기와 중국 경기 하강 우려가 부각되며 중국과 유럽 중앙은행이 너도나도 기준금리를 인하해 통화정책 대응에 나서던 시기였다.
당시 시장에서는 한국은행이 세계적인 경기 부양 흐름에 맞춰야 한다는 정부의 의지에 따라 금리 인하를 단행했다는 분석이 제기되기도 했다. 2015년 6월 금리 결정 전에는 '메르스(MERS; 중동호흡기증후군)'가 단어 순위 11위에 올랐다. 메르스는 우리나라에서 2015년 5월 첫 감염자가 발생해 전염 우려가 커지며 경제적으로는 소비가 위축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1.75%에서 1.50%로 하향하고 통화정책방향 결정문을 통해 "회복세를 보이던 소비도 메르스 사태가 발생하면서 위축됐다"고 진단했다.이어 "수출부진, 메르스 사태의 영향 등으로 성장경로의 하방 위험이 커진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2015년 3월에는 '가계부채'(9위)가, 2016년 6월에는 '구조조정'(6위) 문제가 금리 인하 전 이슈가 됐던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은행의 독립성 논란도 보도 데이터를 통해 유추할 수 있었다. 2014년 8월 금리 인하 전에는 이례적으로 '부총리'라는 단어가 20위권 내에 올랐다. 당시 최경환 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초이노믹스'라는 신조어가 만들어질 정도로 적극적인 경기 부양책을 펼친 바 있다. 최 전 부총리는 경기 부양을 위한 '강력한 한 방'이 필요하다고 발언하며 금리 인하 기대를 키웠고 한국은행은 직후 열린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인하했다.이후에도 최 전 부총리의 '척하면 척'이라는 발언 등으로 한국은행 금리 인하 압박 논란이 일기도 했다.
윤창현 서울시립대 경영학부 교수는 "금리 인하 시기는 인상 시기와 달리 경기가 악화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며 "언론 보도에서도 메르스 등 경기 악재에 해당하는 단어들이 당시 상황을 시사해준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윤 교수는 "한국은행의 독립성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은이 주변에서 나오는 이야기를 듣고 이를 얼마나 합리적으로 판단하느냐가 중요하다고 본다"며 "이주열 총재도 절에 들어간 주지 스님과 같은 이미지를 탈피하고 시장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적극적으로 소통을 강화하는 노력을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은행이 통화정책 결정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 총재가 좀 더 의연하게 할 말도 하면서 통화정책이 국민의 삶과 유리된 것이 아니라 아주 밀접하게 연결돼서 결정된다는 느낌이 들게 해주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정적 실적 시즌…자신감 회복하는 월가 / 연합인포맥스
월가 전문가들은 16일 기업 실적이 우려했던 것보다 양호하다면서 시장에 대한 낙관적 기대를 유지했다.
로이트홀드 그룹의 짐 폴슨 수석 투자 전략가는 "2018년에 미국 경제의 회복세가 침체로 향하는 듯했지만, 이는 실질 성장률이 3% 이상, 명목 성장은 5.5% 이상, 실업률이 4% 이하인 상황에서는 지속할 수가 없는 현상"이라면서 "올해 투자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부정적인 뉴스에도 긍정적인 기대를 유지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팩트셋에 따르면 이날까지 S&P 500 기업의 6% 이상이 네 번째 회계분기 실적을 발표했고, 이 중 85.3%가 시장 기대를 웃돌았다.
도이체방크 웰쓰 매니지먼트의 크리스티앙 놀팅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이익 증가세가 지속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현재의 정치적인 이슈들이 약해진다면 투자자들이 원하는 대로 펀더멘털로 관심이 되돌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존 핸콕 인베스트먼트의 에밀리 롤랜드 자본 시장 대표는 "밸류에이션이 매우 매력적이다"면서 "투자자들이 되돌아오기 시작했다"고 기대했다. 반면 어닝스카우트의 닉 래치 대표는 "증시가 랠리 모드를 유지하고 있지만, S&P 500 기업의 주당순이익(EPS) 성장률 기대는 지속해서 떨어지고 있다"면서 "부정적인 이익 모멘텀은 강력한 힘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강한 이익 증가가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내다봤다.
1월 16일 주요 종목에 대한 IB 투자의견 / 써치엠글로벌
▲ Facebook(FB): Goldman Sachs는 조사 결과, 4분기 일일 평균 사용량(시간)이 전년 동기 대비 17%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Instagram, Messenger 등의 모바일 사용자 증가도 강조했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95달러를 유지했다.
▲ lululemon athletica(LULU): MKM Partners는 제품 혁신과 신규 고객 유인, 디지털 플랫폼 확충 등이 성장 모멘텀 강화로 나타나고 있다고 언급했다.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를 177달러에서 179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Incyte(INCY): UBS는 주가 상승 촉매제가 하반기에 몰려있다고 언급하면서, 상반기에는 밸류에이션이 주가 상승을 제한할 것으로 예상했다. 투자의견을 매수에서 중립으로 하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75달러에서 82달러로 상향했다.
▲ MetLife(MET): Bank of America는 Brighthouse 스핀오프 이후 개선된 믹스를 시장이 충분히 반영하지 않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목표주가를 50달러에서 53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Take-Two Interactive(TTWO): Gabelli는 동사가 여러 게임 프랜차이즈를 바탕으로 지적재산권을 강화하고 있으며, 인수 대상으로 높은 매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투자의견 매수, 목표주가 136달러로 커버리지를 개시했다.
▲ Nordstrom(JWN): Bank of America는 최근의 발표 내용을 분석했을 때, EBIT 이익률 확대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underperform을 유지했으며, 목표주가를 48달러에서 43달러로 하향했다.
▲ Chipotle Mexican Grill(CMG): Cowen은 단기적 트렌드가 우수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이익률 문제가 불거지며 밸류에이션 매력은 낮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 marketperform을 유지하면서 목표주가는 430달러에서 485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 Netflix(NFLX): RBC Capital은 유료 가입자 5,700만 명에서 사용자 1인당 평균 매출(ARPU) 11.44달러를 창출하고 있다고 분석하면서, 15% 가격인상이 11.8억 달러에 달하는 이익 증가를 가져온다고 강조했다. 투자의견 outperform, 목표주가 450달러를 유지했다.
▲ PG&E(PCG): Wells Fargo는 파산 보호 절차가 진행된 이후에도 동사가 어느 정도의 가치를 가질 것으로 예상했지만, 투자의견은 outperform에서 marketperform으로 하향 조정했다. 목표주가는 15달러에서 10달러로 하향했다.
정부 규제 여파로 부동산 심리가 `꽁꽁` 얼어붙었다. 수도권과 지방, 주택과 토지 구분할 것 없이 전월 대비 심리지수가 모두 낮아졌다. 보합 상태이던 수도권 부동산·주택매매 심리지수도 하강 국면으로 돌아서거나 보합 국면을 간신히 유지하고 있다.
국토연구원이 16일 발표한 `2018년 12월 부동산시장 소비자심리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국 부동산(주택+토지) 소비자심리지수는 90.7로 나타났다. 이 조사를 시작한 2011년 7월 이후 최저치다. 전달보다 5.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소비자들이 부동산 경기를 하강 국면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다. 이 조사는 전국 중개업소 2240곳, 일반인 6400가구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수치가 0~95면 부동산 경기가 하강 국면을, 95~114면 보합 국면을, 115~200이면 상승 국면을 의미한다.
수도권은 91.5로 전달 대비 8.4포인트 떨어지며 하강 국면으로 진입했다. 비수도권은 90.1로 1.7포인트 하락하며 전달에 이어 하강 국면을 유지했다. 특히 서울은 전달 106.5에서 93.9까지 12.6포인트 급락했다. 광주와 전남도 각각 8.0포인트, 7.8포인트 떨어졌다. 경북만 5.1포인트 상승했다.
주택시장(매매+전세) 소비심리도 보합·하강에서 일제히 하강 국면으로 돌입했다. 전국은 전달보다 5.6포인트 깎인 90.6을 기록하고, 수도권은 9.0포인트 낮아진 91.2로 조사되며 보합 국면에서 하강 국면으로 돌아섰다. 비수도권은 90.2로 전달 대비 각각 1.6포인트 하락하며 하락 국면을 유지했다.
주택매매 소비심리의 경우엔 비수도권이 하강 국면으로 돌아섰다. 93.6으로 전월보다 1.7포인트 낮아졌다. 수도권은 100.7, 전국 기준으론 97.2로 조사됐다. 전월보다 각각 9.5포인트, 6.1포인트 하락했으나 보합 국면은 유지했다.
주택전세 소비심리는 계속 하락세를 보이며 하락 국면을 유지했다. 전국이 84.1로 전달보다도 5.2포인트 하락했다.
수도권(81.8)과 비수도권(86.8)도 전월보다 각각 8.5포인트, 1.5포인트 낮아졌다.
전국 토지시장 소비심리는 90.9로 전달보다 3.7포인트 떨어지며 하강 국면을 유지했다. 수도권은 93.7로 3.2포인트 낮아지며 하강 국면으로 전환했다. 비수도권은 89.4로 3.0포인트 깎이며 하강 국면을 유지했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전 세계를 강타했던 2009년 1월 23일, 삼성전자(005930)의 2008년 4분기 실적 발표는 시장을 충격으로 몰아넣었다. 대한민국 최대 기업으로 2000년 이후 31분기 연속 흑자 행진을 이어온 삼성전자가 1조원에 가까운 영업손실을 냈다. 손실의 약 60%(5600억원)가 1992년부터 세계 1위를 지켜온 메모리 반도체에서 터져 나왔다. 미국계 투자은행 JP모건은 이 ‘어닝 쇼크’ 직후 2009년 한해 삼성전자의 실적 전망을 7550억원 흑자에서 7890억원 적자로 하향 조정하는 최악의 전망을 내놓았다.
그로부터 약 10년 세월이 흐른 2019년 1월 15일, 문재인 대통령은 청와대로 기업인들을 초청한 자리에서 4대 그룹 총수와 따로 산책을 하며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에게 “요즘 반도체 경기가 안 좋다는데 어떻습니까?”라고 물었다. 이에 이재용 부회장은 “좋지는 않습니다만 이제 진짜 실력이 나오는 거죠”라고 답했다. 10년 전 위기를 극복한 경험에서 나온 자신감이었다. 옆에서 함께 걷던 최태원 SK(034730)그룹 회장은 “삼성이 이런 소리하는게 제일 무섭습니다”라며 삼성의 ‘진짜 실력’을 우회적으로 인정했다. SK그룹도 2012년 SK하이닉스(000660)를 인수해 반도체를 핵심 사업으로 키우고 있다.
최태원 회장은 이어 “반도체 시장 자체가 안 좋은 게 아니라 가격이 내려가서 생기는 현상으로 보시면 됩니다. 반도체 수요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 가격이 좋았던 시절이 이제 조정을 받는 겁니다”라고 현 상황을 설명했다.
이날 이재용 부회장이 말한 진짜 실력은 삼성전자가 위기를 기회로 만든 원동력인 ‘초(超)격차’ 전략을 뜻한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메모리 분야에서 차세대는 물론 차차세대까지 앞서 개발하는 초격차 전략을 통해 단숨에 위기를 극복했다. 2017년엔 미국 인텔을 누르고 반도체 왕좌에 올랐고, 2018년 3분기엔 영업이익이 17조 5700억원(반도체 13조 5600억원)에 달하는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 작년 한해 영업이익은 59조원에 달해 인구 1000만명의 서울시가 1년 7개월 간 쓸 수 있는 예산(연간 36조원)과 맞먹는다.
하지만 지난해 4분기부터 삼성전자의 실적을 견인해 온 D램 등 메모리 가격이 불과 석 달 새 10% 이상 하락하고 서버용 제품 수요도 감소세로 접어들었다. 얼마 전 공개한 4분기 잠정 영업이익(10조 8000억원)은 시장 예상치에 크게 못 미쳐 전분기 대비 40% 가까이 급감해 우려를 키우고 있다.
새해 삼성전자는 세계 최초로 3세대 10나노(1z)급 D램과 6세대 120단 3D V낸드를 선보이며 메모리 초격차를 이어갈 전망이다. 이재용 부회장은 한발 더 나아가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시스템 반도체 등 비(非)메모리 분야로 초격차 전략을 확대해 위기를 돌파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파운드리의 초격차 기술로 삼성전자가 업계 최초로 적용한 EUV(극자외선)는 10나노(nm·10억분의 1m) 미만 반도체 미세 공정에서 비장의 무기로 꼽힌다. 이 부회장은 6조원을 투입한 화성 EUV개발라인을 지난해 8월 직접 방문해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미래 반도체 수요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술 초격차’가 반드시 유지돼야 한다”고 강조했었다.
삼성전자는 EUV를 적용해 올해 세계 첫 5·6나노 파운드리 공정을 선보일 계획이다. 대만 TSMC가 50% 이상을 점한 파운드리 분야는 2020년 글로벌시장 규모(IHS마킷 자료)가 766억 달러(약 86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스마트폰의 두뇌에 해당하는 시스템 반도체 AP(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개발과도 밀접한 연관이 있다. 또 인공지능(AI)의 핵심 기술인 ‘딥러닝’에 최적화 한 시스템 반도체 NPU(신경망 프로세서)와도 맥이 닿아있다. 여기에 메모리 분야에서도 10나노 미만까지 초격차를 이어갈 차세대 기술이란 평가다.
국내 EUV 최고 권위자인 안진호 한양대 신소재공학부 교수는 “삼성이 EUV를 도입한 것은 메모리 중심에서 탈피해서 파운드리 등 비메모리 사업을 강화하겠다는 의도”라며 “EUV에 대한 자신감이 선제 투자로 이어졌고 파운드리 1위 TSMC보다 먼저 기술을 선점해서 시장 판도를 바꿔보겠다는 포석”이라고 분석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 경내 산책을 마치며 이재용 부회장에게 “우리는 비메모리 반도체 쪽으로 진출은 어떻습니까?”라고 물었다. 이 부회장은 “결국 집중과 선택의 문제입니다. 기업이 성장하려면 항상 새로운 시도를 해야 하죠”라고 답했다.
'경제적 자유 > 경제이슈 살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사종합] 삼성전자, 미국 가치주, 서울 아파트값 (0) | 2019.01.21 |
---|---|
[기사종합] 뉴욕증시, IB 투자의견, 국내부동산 (0) | 2019.01.18 |
[기사종합] 뉴욕증시, IB 투자의견, 임대주택 (0) | 2019.01.16 |
[기사종합] 뉴욕증시, IB투자의견, 서울전세값 (0) | 2019.01.15 |
[기사종합] 미국증시, IB투자의견, 차이나쇼크 (0) | 2019.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