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3.29 경제기사 공부하기

반응형

[경영일반] [2017재산공개]文대통령 18.8억원…靑 2위는 장하성, 1위는?

  - 공개에 빠진 주현 135억원 1위…임종석 5억원, 조국 53억원
  - 문재인 대통령의 재산이 18억8019만원으로 집계됐다. 
  - 청와대 참모진 중에서는 주현 중소기업비서관(약 135억원)에 이어 장하성 정책실장, 차영환 경제정책비서관 순

[2017재산공개]文대통령 18.8억원…靑 2위는 장하성, 1위는?

지난해말 기준 청와대에서 가장 재산이 많은 참모는 장하성 실장으로, 96억294만원이었다. 장 실장은 서울 잠실의 아파트를 비롯해 경기 가평 및 전남 해남의 토지까지 부동산 약 17억원, 예금 약 78억원 등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공직에 나서며 자신과 배우자의 주식을 대부분 매각했다. 현재 남은 주식은 대우 7주, 참언론 1000주, 한겨레 1920주에 불과하다.

하지만 청와대에서 가장 재산이 많은 참모는 주현 중소기업비서관(135억4049만원)이다. 지난해 10월 청와대에 들어온 주 비서관의 재산은 지난 1월 관보에 게재돼 이번 재산공개에는 누락됐다. 재산의 절반 가까이(60억8299만원)가 건물 가액이었다. 서울 강남 개포동 아파트, 금천 독산동 복합건물 2채, 마포 동교동 오피스텔, 세종시 새롬동 아파트 등이 총 33억5737만원에 달했다.

[금융] 지배구조 바꾸는 현대차그룹, 모비스 vs 글로비스 '투자 셈법'은?

  - 현대차그룹 지배구조개선안이 '글로비스에 유리하고 현대모비스엔 불리한 구조'라는 평가가 시발점이 됐다.
  - 개선안은 현대모비스가 0.79대 0.21의 비율로 투자 및 핵심부품 사업을 영위하는 존속회사와
  - 단순 모듈 및 국내 AS 부품 사업을 영위하는 분할 회사로 나뉘고, 현대글로비스에 1대 2.9의 비율로 흡수합병
  - 현대모비스 캐시카우인 AS사업과 외형 및 자산가치가 큰 모듈사업이 현대글로비스로 합병 글로비스 수혜

현대모비스 시장가치(28일 종가기준)는 합병 글로비스에 귀속되는 분할 모비스 가치 10조3000억원, 존속 모비스 가치 15조1000억원으로 총 25조4000억원이다. 분할 모비스의 세전이익(2017년 기준)은 1조4400억원으로 존속 모비스의 세전이익(1조2500억원)보다 많지만, 매출액은 14조원으로 절반 수준이다. 그만큼 분할 모비스의 수익성이 높다는 얘기다.

그러나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번 지배구조개편에 따른 최종 수혜는 현대모비스가 입을 것이란 관측이다. 저마진 모듈 사업을 떼어내는 등 비핵심 사업을 축소한 것만으로도 주가 할인 요소가 상당 부분 제거됐고, 그룹 지배구조 정점에서 미래 핵심사업을 담당하며 성장을 주도할 것이란 점에서 기대감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오히려 급락한 주가로 밸류에이션 매력이 커진 현 상황이 저가 매수 기회란 분석이다.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회사 분할에 따라 당장 매출 감소는 불가피하지만 핵심사업부와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해외사업을 보유했다는 게 현대모비스의 장점"이라며 "지배구조개선 후 대주주 최종 지분율이 30.3%로 높지 않아 실적 향상을 위한 치열한 노력과 주주친화 정책 확대 등 기업가치제고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부동산] "주택 공급 충분?"… 서울, 멸실 반영한 '순공급량'은 10년 만에 최저

  - 지난해 1만4491가구 그쳐… 강남권은 '마이너스', 올해 이주 11% 늘어 "집값 불안 장기화 가능성"
  - 서울 강남권에서 철거 영향으로 순수하게 증가한 주택 물량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 지난해와 올해 서울 주택 순증 물량이 10년 내 최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 강남권 등 일부 지역에선 주택 수가 거꾸로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 순증 물량은 신규 입주 물량에서 멸실 물량을 뺀 수치다.

올해도 서울의 주택 순증분은 크게 늘지 않을 전망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재개발·재건축 사업장의 이주예정 물량은 3만1485가구로 지난해 이주 물량(2만8383가구)보다 약 11% 증가한다. 이주 단계에 들어가면 사실상 ‘빈집’이어서 연말에 집계될 최종 멸실 규모를 가늠할 수 있다. 강남구는 지난해(3519가구)의 두 배가량인 7024가구가 올해 이주할 전망이다. 개포주공1단지(4806가구)가 내달쯤 관리처분인가를 마친 뒤 이주 절차에 들어간다.

정부는 ‘8·2 부동산 대책’ 등을 내놓으면서 “공급 부족이 아니라 투기수요 탓에 강남 등 서울 집값이 급등했다”며 규제를 쏟아냈다. 하지만 원인 진단부터 잘못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토부에 따르면 2012년부터 2016년까지 5년간 평균 주택공급량은 7만1906가구였다. 지난해 주택공급량은 7만784가구(아파트 약 3만 가구), 올해 예상치는 7만2000가구(아파트 약 3만9000가구) 등이다. 하지만 이는 멸실 통계를 반영하지 않고 입주 물량만을 고려한 수치다. 멸실을 감안하면 지난해와 올해의 순증 물량은 적정 물량(5만 가구)의 절반 수준에 그친다. 정부는 그동안 입주 물량 통계치를 기반으로 공급이 충분하다고 공언해왔다. 공급 부족에 따른 집값 상승 가능성을 배제하고 수요억제 일변도의 정책만 펼친 것이다. 김 의원은 “입주 물량과 멸실 물량을 함께 고려해야 실질적이고 정확한 수요 공급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며 “정부가 반쪽짜리 통계를 근거로 각종 규제 방안을 쏟아내면서 되레 시장을 왜곡시키고 있다”고 지적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