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01.07 돈되는 경제기사
■ 국내 증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인상과 조기 양적 긴축 시사에 국내증시가 흔들렸습니다.
코스피지수는 전일 대비 1.13% 하락한 2920.53포인트로 장을 마쳤습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823억원과 1831억원을 순매수했고 기관은 4836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부분 하락한 가운데 기술주인 네이버와 카카오가 각각 4% 넘게 내리며 낙폭이 컸습니다.
특히 카카오는 시가총액이 하루 만에 47조원에서 44조5000억원으로 감소하며 시총 순위 5위에서 7위로 내려왔습니다.
대장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1% 이내의 약세를 기록했습니다.
반면 대주주의 지분 매각으로 현대글로비스는 6% 급등했고 포스코도 3% 올랐습니다.
코스닥은 전 거래일보다 2.90% 하락한 980.30을 기록하며 '천스닥'이 무너졌습니다.
개인은 3866억원을 순매수했고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1258억원과 2457억원을 순매도했습니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은 전부 하락 마감했는데요. 카카오게임즈가 14% 이상 급락했고, 위메이드가 11% 이상 하락했습니다.
■미국 증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여파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뉴욕증시는 또 하락했습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0.47% 떨어진 3만6236.47에 마감했고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약보합권인 4696,05, 나스닥은 0.13% 하락한 1만5080.86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이날도 주요 기술주들이 하락세를 이어갔는데요. 테슬라과 넷플릭스가 2% 이상 하락한 가운데 애플과 아마존도 1% 가량 밀렸습니다.
반면 메타 플랫폼은 2.5% 상승했습니다.
10년 만기 미 국채금리는 장중 연 1.75% 이상으로 뛰면서 은행주는 상승했는데요.
시티그룹은 3%, 웰스파고와 뱅크오브아메리카 (NYSE:BAC) 모두 2% 올랐습니다.
원유 가격 상승에 다이아몬드백에너지는 4.6%, 데본에너지는 3.7%, 옥시덴탈은 4%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유럽증시
유럽 주요국 증시는 일제히 하락 마감했습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89% 하락한 7450.37로,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1.72% 내린 7249.66으로 장을 마쳤고요.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도 1.35% 떨어진 1만6052.03으로 폐장했습니다.
투자자들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긴축 가능성에 주목했는데요.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기술주가 급락했습니다.
독일 소프트웨어 회사인 네메체크(Nemetschek)가 7% 폭락했습니다.
반면 금리 정상화의 수혜가 예상되는 은행주는 두드러진 상승세를 보였는데요. 스페인의 카이샤뱅크(Caixabank)와 스탠다드차타드(Standard Chartered)는 각각 3% 넘게 올랐습니다.
경제지표로는 유로존의 지난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대비 1.8% 상승했습니다. 12월 PPI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로는 23.7% 상승한 것으로 전망치를 웃돌았습니다.
■아시아 증시
어제 아시아증시는 대부분 하락했습니다.
일본 닛케이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2.9% 하락한 2만8487.87엔에서 마감했는데요. 작년 6월21일 이후 6개월여 만에 최대 하루 낙폭입니다.
종목별로 의료서비스 플랫폼 업체 엠쓰리(M3)가 6%, 의료기기 업체 테루모는 9% 떨어졌고요.
유니클로의 판매 실적 감소를 보고한 패스트리테일링이 4.9% 하락했습니다.
중국 상하이종합지수는 0.3% 하락한 3586.08를 기록했습니다.
홍콩 항셍지수는 0.72% 상승한 2만3072.86으로 거래를 마쳤는데요.
시가총액 1위인 텐센트가 1.63% 올랐고, 2위인 알리바바그룹이 5% 급등하며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대만 가권지수는 전장대비 0.71% 내린 1만8367.92에 장을 마쳤습니다.
미디어텍과 훙하이정밀이 각각 3.4%, 1.8% 내려앉았으며, 시가총액 1위인 TSMC도 0.9% 내리며 기술주가 부진했습니다.
■주요 뉴스
●美 12월 ISM 비제조업 PMI 62.0…예상치 66.8
●美 11월 무역적자 802억 달러…전월대비 130억달러 증가
●미 주간 실업보험 청구 20만7천명…월가 예상 상회
●미 11월 공장재 수주 전월대비 1.6%↑…예상치 하회
●WHO "확진자 쓰나미 크고 빨라…오미크론 가볍게 봐서는 안 돼"
●中시안 봉쇄 장기화…메모리 ‘몸값 반등’ 앞당기나
●반도체가 뭐길래…신차보다 비싸진 '아이오닉5 중고차'
●네이버·구글 등 플랫폼, 자사상품 우대·끼워팔기하면 제재
●증권사들 '오스템임플란트 편입 펀드' 판매 중단
● SK플라즈마, 알부민 등 혈액제제 172억원 규모 중동 수출
●의회·법원까지 번진 방역 패스 갈등…세계 곳곳 몸살
●영국서 H5형 조류인플루엔자 사람 감염 첫 확인
■주요 일정
오늘의 주요 일정 전해드립니다.
●삼성전자 잠정 실적발표 예정
●LG전자 잠정 실적발표 예정
●美 12월 고용동향보고서
■전망과 투자전략
오늘의 전망과 투자전략 알아보겠습니다.
예상보다 강한 긴축 스탠스에 글로벌 증시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최유준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12월 지표 뿐만 아니라 1월 FOMC도 중요한 이벤트로 부상하고 있다"며 "실질금리가 상승하고 코스닥이 저가로 마감하며 성장주 수급이 좀 더 불편해질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동시에 오미크론 우려도 완화되면서 민감주를 포함한 대형주에 상대적으로 유리한 환경이란 의견입니다.
이재선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차주 국내 증시는 다소 상단이 제한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는데요.
이 연구원은 "금리 변동성이 확대될 때는 스타일 구분이 강화되는 경향이 있는데 해당 구간은 낮은 PER(주가수익비율)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유리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외국인의 매수 패턴에서도 관찰되는데 연초 이후 외국인이 매수하는 상위 업종은 운송(6.0배), 보험(7.1배), 통신(8.6배)으로 해당 업종은 코스피(10.7배) 대비 낮은 PER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영업이익 상향조정폭이 높아지고 있는 특징을 지녔다는 설명입니다.
아직까지 외국인의 매수세가 유입되지 않은 업종 중 해당 특징을 보유하고 있는 업종은 유통(9.7배), 음식료(9.5배), 증권(4.6배)이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제적 자유 > 경제이슈 살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1.11 돈되는 경제기사 (0) | 2022.01.11 |
---|---|
2022.1.10 돈되는 경제기사 (0) | 2022.01.10 |
2022.01.06 돈되는 경제기사 (0) | 2022.01.06 |
2022.01.05 돈되는 경제기사 (0) | 2022.01.05 |
2022.1.4 돈되는 경제기사 (0) | 2022.01.04 |